광주시민, 尹 파면 때까지 날마다 거리로 나선다
2025년 03월 10일(월) 20:50 가가
강 시장 1인 시위·시민단체 ‘비상행동’ 5·18 광장 천막 농성
헌재 선고 연기되거나 탄핵 기각 결정 나오면 상경 집회 계획
헌재 선고 연기되거나 탄핵 기각 결정 나오면 상경 집회 계획


10일 윤석열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비상행동)이 광주시 동구 지산동 광주검찰청 앞에서 윤석열 석방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강기정 광주시장과 광주시민사회가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될 때까지 매일 거리로 나선다.
윤 대통령이 내란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구속됐지만 52일 만에 풀려나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 다시 ‘비상행동주간’을 선포하고 시민 목소리를 한데 모으기 위해서다.
강 시장은 10일 오후 광주시 동구 5·18민주광장 시계탑 앞에서 ‘국민의 뜻, 윤석열 파면’이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1인 시위에 돌입했다. 강 시장은 11일에는 오전 8시 광주시청 앞 5·18기념공원 교차로에서 1인 시위를 할 예정이며, 윤 대통령이 파면될 때까지 근무시간 외 출퇴근 시간에 맞춰 1인 시위를 이어간다.
광주지역 186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윤석열 정권 즉각 퇴진 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비상행동)도 이날 오전 전일빌딩 245에서 긴급 전체비상대표자 회의를 열고 비상행동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40여명의 시민사회 단체 대표자들이 참석했다.
비상행동은 일단 이날부터 15일까지 1차적으로 광주시 동구 5·18민주광장에 천막 농성장을 설치해 24시간 운영한다. 14일 헌재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이 진행될 것을 기대하고, 1차 비상행동 주간을 설정했다는 게 비상행동 측의 설명이다.
비상행동은 천막 농성장을 설치해 운영하면서 시민 참여형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민의 광범위한 참여를 위한 추가 방안도 지속적으로 마련할 방침이다.
필요시 천막은 추가 설치하고 각 정당에도 천막 설치와 운영에 동참을 요구할 계획이다.
동시에 5·18민주광장에서 이날부터 14일까지 매일 오후 7시 윤석열 파면 촉구 광주시민 총궐기대회를 진행한다. 시민사회 단체별로 매일 릴레이 시국선언 기자회견도 연다.
11일 광주전남대학민주동우협의회, 12일 광주·전남 민주화운동동지회, 13일 민주노총·시민단체협의회·여성단체연합 등의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고, 광주·전남 종교계와 5·18단체, 교수협의회,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도 함께 할 예정이다.
지역 민주원로도 시국간담회를 열고 메시지를 낼 방침이다. 시민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거점별로 1인 시위와 선전전을 진행한다.
헌재가 14일로 관측되고 있는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진행한다면 비상행동은 5·18민주광장에서 헌재 선고를 생중계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 파면이 결정되면 17일 오후 7시 5·18민주광장에서 시민대회를 개최한다.
헌재의 선고가 연기되거나 탄핵인용 결정이 나오지 않게 되면 광주시민사회는 15일 서울 상경단을 꾸릴 계획이다.
앞서 비상행동은 이날 광주지방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이 윤 대통령의 내란행위에 적극 동조했다”고 윤 대통령의 석방지휘를 한 검찰을 비판했다. 비상행동은 “검찰까지 총동원된 내란 세력의 몸부림을 국민들이 반드시 막을 것”이라면서 “내란수괴 하수인 검찰이 내란수사를 방해하고 있으니 해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윤 대통령이 내란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구속됐지만 52일 만에 풀려나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 다시 ‘비상행동주간’을 선포하고 시민 목소리를 한데 모으기 위해서다.
광주지역 186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윤석열 정권 즉각 퇴진 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비상행동)도 이날 오전 전일빌딩 245에서 긴급 전체비상대표자 회의를 열고 비상행동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40여명의 시민사회 단체 대표자들이 참석했다.
필요시 천막은 추가 설치하고 각 정당에도 천막 설치와 운영에 동참을 요구할 계획이다.
![]() ![]() |
강기정 광주시장이 10일 광주시 동구 5·18민주광장 시계탑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
11일 광주전남대학민주동우협의회, 12일 광주·전남 민주화운동동지회, 13일 민주노총·시민단체협의회·여성단체연합 등의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고, 광주·전남 종교계와 5·18단체, 교수협의회,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도 함께 할 예정이다.
지역 민주원로도 시국간담회를 열고 메시지를 낼 방침이다. 시민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거점별로 1인 시위와 선전전을 진행한다.
헌재가 14일로 관측되고 있는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진행한다면 비상행동은 5·18민주광장에서 헌재 선고를 생중계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 파면이 결정되면 17일 오후 7시 5·18민주광장에서 시민대회를 개최한다.
헌재의 선고가 연기되거나 탄핵인용 결정이 나오지 않게 되면 광주시민사회는 15일 서울 상경단을 꾸릴 계획이다.
앞서 비상행동은 이날 광주지방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이 윤 대통령의 내란행위에 적극 동조했다”고 윤 대통령의 석방지휘를 한 검찰을 비판했다. 비상행동은 “검찰까지 총동원된 내란 세력의 몸부림을 국민들이 반드시 막을 것”이라면서 “내란수괴 하수인 검찰이 내란수사를 방해하고 있으니 해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