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고
- 위기의 중산층 - 박진표 경제부장
- 중산층(中産層)은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중간쯤에 있는 ‘허리층’을 뜻한다. 국가나 시대별로 개념에는 차이가 좀 있다.
1980년대 우리나라는 월 소득 50만~100만원, 자가소유 주택 또는 아파트 거주, 자녀 대학...
- ‘설마’는 없다 - 이보람 예향부 차장
- 초등학교 1~2학년쯤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집 마당에서 통조림 캔에 줄을 매달아 안에 불을 붙이고 뱅글뱅글 돌리며 쥐불놀이를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불씨가 튀었는지 잔디마당에 불이 붙더니 순식간에 공간을 넓혀가며...
- 추기경의 호소 - 김지을 사회부장
- 은퇴한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는 5·18 민주화운동의 공신이자 산 증인이다. 그는 1980년 천주교 광주대교구장 재임 당시 5·18 민주화운동을 두 눈으로 목격하고 직접 김수환 추기경을 만나 참혹한 광주 실상을 알렸...
- 정치의 사법화 - 윤영기 정치·경제담당 에디터
- ‘정치의 사법화’(judicialization of politics)란 본래 정치에서 다뤄야할 사안이 사법부에 넘겨져 판단·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사법부가 정치적 사안에 대해 판결을 내림으로써 정치 과정, 권력구조,...
- 실험대에 선 양심 - 오광록 서울취재본부 부장
-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가 최근 ‘양심’이라는 책을 통해 우리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있다. “양심은 배우는 게 아니라 지키는 것”이라는 최 교수의 일침은 ‘양심을 지키면 손해가 되는 세상’에 울림을 주고 있다.
...
- 만화 ‘오! 한강’-김미은 여론매체부장
- 생각해 보면 가슴 뜨거운 ‘혁명’에 대해 알게 된 건 만화를 통해서였다.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프랑스 혁명을 배우기 전 만화 ‘베르사이유의 장미’로 먼저 혁명과 조우했다. 핍박받는 민중들의 삶을 보고 혁명에 동참하는...
- 목련 - 김대성 전남서부·중부·전북 취재부장
- 목련은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꽃나무다. ‘나무에서 피는 연꽃’이라는 이름처럼 보기 좋게 큼직한 꽃을 피우는 수종으로 개화 기간이 사나흘 정도로 매우 짧아 많은 이들에게 아쉬움을 주지만 이 때문에 더욱 사랑을 받지 않...
- 봄꽃의 언어 - 송기동 예향부장
- 겨울에서 봄으로 접어드는 시기에 피어나 ‘봄의 전령’으로 불리는 꽃이 복수초(福壽草)다. 그런데 남도에서는 눈 속에서 피는 복수초의 모습을 여간해서는 보기 힘들다. 개화할 무렵 눈이 오더라도 봄 기운에 금세 녹아버리...
- 창작수필 - 박성천 문화부장
- 예로부터 광주는 예향(藝鄕), 문향(文鄕), 미향(味鄕)으로 불렸다. 이 가운데 문향(文鄕)은 광주 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장 본질적인 어휘 가운데 하나다. 역사 이래로 광주는 내로라하는 문인들이 적지 않았다. 동인지 ...
- 불가능의 반대말 - 김여울 체육부 차장
- ‘우리는 불가능의 반대말이다’, ‘1%의 가능성, 99%의 믿음’.
광주FC의 경기가 열리는 곳이면 볼 수 있는 말이다. 팬들은 이런 문구가 담긴 현수막을 걸고 광주를 응원한다. 이는 지난 12일 광주월드컵경기장...
- 관세전쟁 - 박진표 경제부장
- 관세전쟁은 19세기 들어 본격 등장한다. 당시엔 다른 국가의 물품에 높은 관세를 매겨야만 국내 산업이 부흥하고 국가도 부강해진다고 믿었다. 자국 농업 보호를 위해 곡물에 높은 관세를 물린 영국 곡물법이 대표적이다.
...
- 쫓겨난 권력자 - 이보람 예향부 차장
- 인류 역사상 최악의 독재자로 꼽히는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 이라크의 전쟁 범죄자인 사담 후세인, 스스로를 ‘살아있는 신’이라 칭한 루마니아의 오랜 독재자 차우셰스쿠, 아프리카를 42년 동안 지배했던 리비아 독재...
- ‘풍경’ - 김지을 정치부 부장
- “세상 풍경 중에서 제일 아름다운 풍경, 모든 것들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풍경. 이 노랫말처럼 모든 것들이 제자리로 돌아가고 우리도 하루빨리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내란수괴 윤석열 피고인에 ...
- 헌재의 시간 - 윤영기 사회·체육담당 부국장
- 1988년 창설된 헌법재판소(헌재)가 올해로 출범 37년째를 맞는다. 헌재의 심판 중 가장 주목을 끈 사건은 ‘2004헌나1’과 ‘2016헌나1’ 판결이다. 전자의 피청구인은 노무현 전 대통령, 후자는 박근혜 전 대...
- 부정선거- 오광록 서울취재본부 부장
- 1960년 3·15 부정선거는 한국 현대사를 바꾼 결정적인 사건으로 기록됐다. 인터넷 사이트 ‘나무위키’에 소개된 당시 민주당 의원들이 입수한 관련 문서에 나온 부정선거 정황은 시대상을 담고 있다. 투표함의 40% ...
- 사생팬 - 김미은 여론매체부장
- 지난해 인천공항을 찾았을 때 언론에서나 접했던 장면을 목격했다. 이른 새벽임에도 사람들이 몰려 있어 무슨 일인가 싶었다. 망원렌즈가 장착된 일명 ‘대포’라 불리는 카메라를 든 사람 등 수 백명의 시선은 공항 입구를 ...
Copyright © 2016 광주일보. All Rights Reserve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