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상의·광주시·광주 국회의원, 지역 현안 논의
2025년 07월 01일(화) 21:05 가가
AI 시범도시, 모빌리티 조성 공감대 모아


한상원 광주상공회의소 회장, 강기정 광주시장, 양부남(광주 서구을)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위원장, 정준호(광주 북구갑)·전진숙(광주 북구을) 국회의원 등이 지난 30일 광주시 서구 홀리데이인 광주호텔에서 ‘광주지역 핵심 현안의 국정과제 반영을 위한 정책 간담회’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상의 제공>
이재명 정부가 국정 과제 수립에 나서면서 광주시를 중심으로 지역 경제계와 정치권 등이 지역 현안 과제 반영을 목표로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1일 광주상의에 따르면 지난 30일 광주시 서구 홀리데이인 광주호텔에서 ‘광주지역 핵심 현안의 국정과제 반영을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하고 지역 주요 경제 현안과 대선 공약 정책 반영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광주상의가 주관한 간담회에는 한상원 광주상의 회장과 강기정 광주시장, 양부남(광주 서구을)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위원장, 정준호(광주 북구갑)·전진숙(광주 북구을) 국회의원, 지역 경제계 인사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인공지능(AI) 국가 시범도시 조성, 민·군 통합 서남권 관문 공항 조성, 대한민국 대표 모빌리티 도시 조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3.0시대, 영산강·광주천 수변 활력도시 조성, 국가 초고자기장 연구인프라 구축, 서남권 메가시티 조성 등 ‘광주시 7대 지역 공약’과 광주상의의 제21대 대선 공약 제안 내용 등을 중심으로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대중교통·자전거·보행(대자보) 중심 교통 인프라 구축과 교육·창업·실증 도시 조성 등 주요 현안에 대한 대응 전략도 제시됐다.
특히 참석자들은 대통령실이 민·군 통합공항 이전에 대해 전담 태스크포스(TF) 구성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해 지역 차원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자는 데에 공감대를 모았다.
또 ‘인공지능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사업(1단계 사업)’ 이후 준비 중인 ‘AX(AI Transformation) 실증밸리 조성사업(2단계 사업)’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이 공유했다.
한상원 회장은 “광주는 AI, 미래차·모빌리티, 문화 콘텐츠 등 미래 산업의 가능성이 응집된 도시지만 재정 자립도는 낮고 세수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속적인 성장과 산업 육성을 위해 국가 차원의 전략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강기정 시장은 “지자체 재정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대형 사업은 중앙정부의 전략적 투자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실행 가능성과 타당성을 갖춘 지역 공약이 국정과제로 채택될 수 있도록 정치권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중앙정부와의 실질적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광주상의는 지역 현안 논의를 위한 지자체·정치권·유관기관과의 정책 간담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해 정부와 정치권에 전달할 계획이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1일 광주상의에 따르면 지난 30일 광주시 서구 홀리데이인 광주호텔에서 ‘광주지역 핵심 현안의 국정과제 반영을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하고 지역 주요 경제 현안과 대선 공약 정책 반영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인공지능(AI) 국가 시범도시 조성, 민·군 통합 서남권 관문 공항 조성, 대한민국 대표 모빌리티 도시 조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3.0시대, 영산강·광주천 수변 활력도시 조성, 국가 초고자기장 연구인프라 구축, 서남권 메가시티 조성 등 ‘광주시 7대 지역 공약’과 광주상의의 제21대 대선 공약 제안 내용 등을 중심으로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 ‘인공지능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사업(1단계 사업)’ 이후 준비 중인 ‘AX(AI Transformation) 실증밸리 조성사업(2단계 사업)’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이 공유했다.
한상원 회장은 “광주는 AI, 미래차·모빌리티, 문화 콘텐츠 등 미래 산업의 가능성이 응집된 도시지만 재정 자립도는 낮고 세수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속적인 성장과 산업 육성을 위해 국가 차원의 전략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강기정 시장은 “지자체 재정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대형 사업은 중앙정부의 전략적 투자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실행 가능성과 타당성을 갖춘 지역 공약이 국정과제로 채택될 수 있도록 정치권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중앙정부와의 실질적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광주상의는 지역 현안 논의를 위한 지자체·정치권·유관기관과의 정책 간담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해 정부와 정치권에 전달할 계획이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