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혼자 산다’ 늘어나는데…광주·전남 ‘팍팍한 1인가구’ 많다
2025년 03월 18일(화) 19:50 가가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1인가구 분석’…광주 36.5%·전남 37.1%
월평균 소득 광주 128만·전남 103만…다인가구·전국 평균보다 적어
월평균 소득 광주 128만·전남 103만…다인가구·전국 평균보다 적어
광주와 전남지역 1인 가구 비중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반면 월평균 소득은 타 지역 1인 가구 또는 다인가구 월평균 소득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광주·전남지역 1인 가구의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지역 내 소비·산업 구조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는 1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1인가구 대상 현황과 소비지출 영향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지역 1인가구 비중은 2023년 기준 36.5%(22만 9000가구), 전남은 37.1%(29만 5000가구)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은 35.5%였다.
광주·전남 1인 가구 비중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오는 2050년이면 광주 40.3%(24만 1000가구), 전남도 42.0%(32만 6000가구)로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광주와 전남은 다른 지역보다 1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이 적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시 1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은 2023년 기준 128만 3000원으로 광주 다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206만 3000원)의 62.2%에 머물렀고, 타 광역시 1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150만 5000원) 대비 20%정도 낮았다.
같은 기간 전남 역시 1인 가구주 월평균 소득은 103만 9000원으로 전남 다인 가구주 소득(158만 6000원)의 65.5% 수준이었으며, 다른 도 단위 행정구역의 1인 가구주 월평균 소득(140만 4000원)보다는 25%가량 적었다.
보고서는 1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이 적은 원인으로, 다인 가구주보다 일자리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분석 자료를 내놨다.
실제 광주와 전남지역 1인 가구주의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은 각 31.5%로, 다인 가구주의 임시·일용근로자 비중(광주 14.7%·전남 11.7%)의 2~3배 수준에 달했다.
이 같은 1인 가구의 증가는 향후 지역 내 소비 및 산업 구조까지 변화시킬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작은 가구 규모를 지닌 특성상 주거비·음식료품 등 필수재를 중심으로 소비가 이뤄지고, 자동차·가구 등 내구재와 교육비 등은 소비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 산업에서 교육, 금융·보험, 정보·통신 등의 산업이 축소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1인 가구의 소득 기반 강화를 위한 고용 안정 정책과 소비구조 변화에 대응한 지역 산업 전반의 성장을 위한 정책적 접근 등 종합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또 광주·전남지역 1인 가구의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지역 내 소비·산업 구조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는 1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1인가구 대상 현황과 소비지출 영향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광주·전남 1인 가구 비중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오는 2050년이면 광주 40.3%(24만 1000가구), 전남도 42.0%(32만 6000가구)로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광주와 전남은 다른 지역보다 1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이 적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시 1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은 2023년 기준 128만 3000원으로 광주 다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206만 3000원)의 62.2%에 머물렀고, 타 광역시 1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150만 5000원) 대비 20%정도 낮았다.
보고서는 1인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이 적은 원인으로, 다인 가구주보다 일자리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분석 자료를 내놨다.
이 같은 1인 가구의 증가는 향후 지역 내 소비 및 산업 구조까지 변화시킬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작은 가구 규모를 지닌 특성상 주거비·음식료품 등 필수재를 중심으로 소비가 이뤄지고, 자동차·가구 등 내구재와 교육비 등은 소비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 산업에서 교육, 금융·보험, 정보·통신 등의 산업이 축소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1인 가구의 소득 기반 강화를 위한 고용 안정 정책과 소비구조 변화에 대응한 지역 산업 전반의 성장을 위한 정책적 접근 등 종합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