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군, 바지락 고장 명성 되찾는다
2022년 04월 04일(월) 18:50 가가
신전면 사초마을 채취 종폐 5t 5~6월 중 살포
매년 모래 살포 등 안정적 서식장 조성 박차
매년 모래 살포 등 안정적 서식장 조성 박차
강진군이 바지락 고장의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해 종ㅍㅒ 살포 등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강진군에 따르면 신전면 사초마을 바지락 양식장에서 최근 어촌계 등 주민 100여 명이 모여 공동 채취 작업을 실시했다.
이번에 채취한 바지락은 지난해 5월 군이 강진만 패류를 살리기 위해 총 사업비 6000만 원을 투입해 사초리 등 7개 어촌계에 뿌린 종패가 생육한 것이다.
바지락은 살포 후 고수온과 태풍에도 잘 견뎌 4㎝ 크기로 잘 자랐다.
강진산 바지락은 80~90년대에는 생산량이 많지는 않았으나, 살이 통통하고 맛이 좋아 서울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가장 빨리 경매가 이뤄질 만큼 명성이 자자했다.
강진군은 2년 전부터 바지락 자원 회복을 위한 종패 살포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바지락 서식 환경 조성을 위해 양식장 모래살포 사업도 매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오는 5~6월 중 관내 10개 어촌계에 바지락과 모래를 살포할 계획이다.
임창복 강진군 해양산림과장은 “바지락, 꼬막 등 패류살포 사업이 어촌계의 안정적인 소득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며 “어패류가 잘 자랄 수 있는 서식장 조성을 위해 어촌계와 바다환경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진=남철희 기자 choul@kwangju.co.kr
강진군에 따르면 신전면 사초마을 바지락 양식장에서 최근 어촌계 등 주민 100여 명이 모여 공동 채취 작업을 실시했다.
이번에 채취한 바지락은 지난해 5월 군이 강진만 패류를 살리기 위해 총 사업비 6000만 원을 투입해 사초리 등 7개 어촌계에 뿌린 종패가 생육한 것이다.
강진산 바지락은 80~90년대에는 생산량이 많지는 않았으나, 살이 통통하고 맛이 좋아 서울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가장 빨리 경매가 이뤄질 만큼 명성이 자자했다.
강진군은 2년 전부터 바지락 자원 회복을 위한 종패 살포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바지락 서식 환경 조성을 위해 양식장 모래살포 사업도 매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오는 5~6월 중 관내 10개 어촌계에 바지락과 모래를 살포할 계획이다.
임창복 강진군 해양산림과장은 “바지락, 꼬막 등 패류살포 사업이 어촌계의 안정적인 소득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며 “어패류가 잘 자랄 수 있는 서식장 조성을 위해 어촌계와 바다환경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