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원들 “동복댐 주변 개발? 수질 악화 초래”
2025년 04월 16일(수) 21:37 가가
‘김영록 지사 제안’ 반발 …광주시의원 전원 입장문
광주시의회 의원들이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환경부장관을 만나 화순 동복호 인근 지역 개발을 거론하며 관련법 개정을 제안한 것을 두고 반발했다.
16일 광주시의회 의원 전원은 입장문을 통해 “광주시민의 식수원인 동복호의 규제 완화 제안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입장문은 김 지사가 지난 15일 환경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상수원 규칙 개정을 제안하자 나온 반응이다.
김 지사는 동복댐 주변 박물관·전시공간, 관광객을 위한 카페 조성 등을 위해 규칙개정을 건의했다.
시 의원들은 “(김 지사가)행정구역상 관할권을 근거로 환경 현안을 건의한 점은 이해하나, 상수원 인근은 보호구역으로 개발대상이 아니다”면서 “광주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공공 식수원의 본질적 가치가 달려 있는 생존권 문제로 단 1%의 오염 가능성도 용인될 수 없는 생명선이다”고 주장했다.
시의원들은 김 지사의 제안이 광주와 사전 협의없이 이뤄졌다는 점도 지적했다.
시의원들은 “일방적인 제안은 양 지자체(광주시·전남도)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환경부는 실질적인 수질관리의 총괄적인 책임을 맡고 있는 만큼 수질 보전과 생태환경 보호를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16일 광주시의회 의원 전원은 입장문을 통해 “광주시민의 식수원인 동복호의 규제 완화 제안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동복댐 주변 박물관·전시공간, 관광객을 위한 카페 조성 등을 위해 규칙개정을 건의했다.
시 의원들은 “(김 지사가)행정구역상 관할권을 근거로 환경 현안을 건의한 점은 이해하나, 상수원 인근은 보호구역으로 개발대상이 아니다”면서 “광주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공공 식수원의 본질적 가치가 달려 있는 생존권 문제로 단 1%의 오염 가능성도 용인될 수 없는 생명선이다”고 주장했다.
시의원들은 “일방적인 제안은 양 지자체(광주시·전남도)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환경부는 실질적인 수질관리의 총괄적인 책임을 맡고 있는 만큼 수질 보전과 생태환경 보호를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