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협의체 참여로 ‘탄핵당’ 불명예 씻어야
2024년 12월 17일(화) 00:00 가가
국민의힘은 국회의 탄핵소추안 표결 과정에서 민심과 너무 동떨어진 행동으로 공분을 샀다. 1차 표결 당시 집단으로 불참한 데 이어 2차 표결에선 108명의 의원 가운데 85명이나 반대표를 던졌다. 찬성표를 던진 의원도 열명 가운데 한명 꼴인 12명에 불과해 비상계엄 선포로 친위 쿠데타를 시도한 대통령을 옹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에도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을 최대한 지연시키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탄핵은 불가피하더라도 최대한 시간을 끌어 사법리스크를 안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만은 정권을 내주지 않겠다는 심산으로 보인다. 이해 못할 바는 아니지만 지금은 국정을 정상화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할 때다. 내란을 도모해 국가를 위기에 빠뜨린 집권 여당이 정권을 내주지 않겠다고 시간을 끈다면 차제에 당을 해체하라는 민심의 준엄한 심판을 면치 못할 것이다.
민심과 다른 국민의힘 지도부 행태에 벌써부터 탈당이 잇따르고 있다. 불모지인 광주에서만 비상계엄 선포 이후 현재까지 수백 명의 책임당원이 탈당 의사를 밝혔고 한때 1만 3000여 명이던 책임당원이 9000명 대로 급감했다고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탄핵안 가결 이후 국민의힘을 향해 국정안정협의체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그제는 정부와 국회가 참여하는 국정안정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데 이어 어제는 국정 전반이 부담스럽다면 시급한 경제와 민생 분야에 한해서라도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참여를 부탁했다.
이에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은 여야 대표 회담을 제안했는데 공석인 국방부장관과 경찰청장 임명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정국 수습 방안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게 한다. 국민의힘은 ‘탄핵당’이라는 불명예를 안지 않으려면 국정협의체 참여로 정국 수습 의지를 보여야 한다.
민심과 다른 국민의힘 지도부 행태에 벌써부터 탈당이 잇따르고 있다. 불모지인 광주에서만 비상계엄 선포 이후 현재까지 수백 명의 책임당원이 탈당 의사를 밝혔고 한때 1만 3000여 명이던 책임당원이 9000명 대로 급감했다고 한다.
이에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은 여야 대표 회담을 제안했는데 공석인 국방부장관과 경찰청장 임명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정국 수습 방안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게 한다. 국민의힘은 ‘탄핵당’이라는 불명예를 안지 않으려면 국정협의체 참여로 정국 수습 의지를 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