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호르몬 치료- 임인석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명예원장
2023년 05월 10일(수) 21:15 가가
예나 지금이나 부모들은 자녀가 공부를 잘하길 바란다. 한편으론 건강하고 키 큰 아이로 자라길 희망한다. 아이들 키 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자녀에게 관련 질병이 있거나 성장이 더딜 경우 고심은 깊어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저신장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2021년 4만 3618명으로 최근 5년간 50% 가까이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5세 이상 10세 미만이 49%로 가장 많고, 10세 이상 15세 미만이 37%를 차지했다.
저신장은 특별한 질병 없이 부모 키가 작거나 체질적으로 사춘기가 늦게 오는 사례가 대부분으로 성장 호르몬 결핍, 염색체나 골격계 이상 등 다양한 원인 질환이 의심될 때는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저신장은 동일 연령, 동일 성별에서 평균 신장보다 300분위 수 미만에 속하는 경우인데 100명 중 세 명 이내로 키가 작은 상태이다. 그리고 표준 키에 비해 10㎝이상 작거나 3~10세의 어린이가 1년에 4㎝ 미만으로 자라면 저신장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저신장이 의심되면 신체 계측과 사춘기 발현 정도, 부모의 키, 성장 패턴을 파악한다. 엑스레이(X-ray) 검사로 골 연령을 측정하며 전신 질환 유무 확인을 위해 혈액 검사, 소변 검사도 시행한다. 필요하면 염색체 검사, 특정 질환 유전자 검사, 성장 호르몬 유발 검사, 뇌 MRI 등을 병행한다.
저신장의 검증된 치료법은 성장 호르몬 투약 주사 치료가 효과적이다. 성장 호르몬 치료는 보통 주 6~7회씩 수면 전에 자가 주사하는데, 1~3개월에 1회 병원을 방문해 경과를 살핀다. 병적 원인이 있다면 만 2세부터 치료를 시행하고 성장판이 닫힐 때까지 투약한다. 성장판이 닫히면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어 가급적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좋다. 골 연령이 어릴수록, 치료 기간이 길수록, 치료 시작 때 키와 부모 중간 키가 클수록, 치료 첫 해 성장 속도가 빠를수록 효과는 높다.
성장 호르몬 주사 치료는 비용 부담이 큰 것이 단점인데 성장 호르몬 결핍 같은 병적 저신장이 확인되면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그 외 염색체 이상에 의한 터너 증후군과 프레더윌리 증후군, 누난 증후군 및 임신 기간에 비해 작게 태어난 부당 경량아, 만성 신부전도 보험 혜택이 가능하다.
보험 급여는 골 연령이 여자 14~15세, 남자 15~16세가 기준이며 키는 여자 153㎝, 남자 165㎝가 될 때까지 적용된다. 원인 질병이 없는 특발성 저신장은 성장 호르몬 치료가 효과적이지만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의 상담 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아이들 키 성장을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 습관이 필요한데 수면은 키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토닌은 성장 호르몬 생산량과 반응성을 높여 키 성장을 돕는다. 수면 조절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뇌 중앙에 위치한 송과선에서 분비, 빛 감지와 생체 리듬을 조절한다. 멜라토닌은 빛을 받으면 억제돼 잠에서 깨고 어두우면 분비가 촉진돼 잠이 들게 된다. 기본적으로 낮에는 활발한 야외 활동으로 햇빛을 쬐고 잠 잘 때는 커튼을 쳐서 어두운 환경을 조성해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수면 전에는 TV 시청과 스마트폰 사용은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해 가급적 자제해야 한다.
한편, 식생활 관리와 하루 30분 이상의 적절한 운동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의 5대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키 성장에 좋은 운동으로 알려져 있는 줄넘기, 농구는 골반과 무릎 성장판을 자극해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저신장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2021년 4만 3618명으로 최근 5년간 50% 가까이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5세 이상 10세 미만이 49%로 가장 많고, 10세 이상 15세 미만이 37%를 차지했다.
저신장은 동일 연령, 동일 성별에서 평균 신장보다 300분위 수 미만에 속하는 경우인데 100명 중 세 명 이내로 키가 작은 상태이다. 그리고 표준 키에 비해 10㎝이상 작거나 3~10세의 어린이가 1년에 4㎝ 미만으로 자라면 저신장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저신장이 의심되면 신체 계측과 사춘기 발현 정도, 부모의 키, 성장 패턴을 파악한다. 엑스레이(X-ray) 검사로 골 연령을 측정하며 전신 질환 유무 확인을 위해 혈액 검사, 소변 검사도 시행한다. 필요하면 염색체 검사, 특정 질환 유전자 검사, 성장 호르몬 유발 검사, 뇌 MRI 등을 병행한다.
보험 급여는 골 연령이 여자 14~15세, 남자 15~16세가 기준이며 키는 여자 153㎝, 남자 165㎝가 될 때까지 적용된다. 원인 질병이 없는 특발성 저신장은 성장 호르몬 치료가 효과적이지만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의 상담 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아이들 키 성장을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 습관이 필요한데 수면은 키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토닌은 성장 호르몬 생산량과 반응성을 높여 키 성장을 돕는다. 수면 조절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뇌 중앙에 위치한 송과선에서 분비, 빛 감지와 생체 리듬을 조절한다. 멜라토닌은 빛을 받으면 억제돼 잠에서 깨고 어두우면 분비가 촉진돼 잠이 들게 된다. 기본적으로 낮에는 활발한 야외 활동으로 햇빛을 쬐고 잠 잘 때는 커튼을 쳐서 어두운 환경을 조성해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수면 전에는 TV 시청과 스마트폰 사용은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해 가급적 자제해야 한다.
한편, 식생활 관리와 하루 30분 이상의 적절한 운동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의 5대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키 성장에 좋은 운동으로 알려져 있는 줄넘기, 농구는 골반과 무릎 성장판을 자극해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