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증 무서운 ‘환절기 고혈압’-최원호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순환기내과 전문의
2022년 09월 14일(수) 22:00
추석이 지난데다 태풍의 간접 영향권에 들면서 더위가 한풀 꺾이고 환절기에 접어든 모양새다. 낮 최고 기온이 29도까지 올라가는 등 더위가 계속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최저 기온은 18도까지 떨어지면서 10도 이상의 일교차를 보이는 날들이 이어지고 있다. 일교차가 큰 날씨는 생체 리듬에 악영향을 줄 뿐 아니라 심뇌혈관 질환 등 지병이 있는 사람에게는 한층 주의가 필요한 시기이다.

이처럼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에는 혈압 변화가 생길 수 있어 고혈압 환자들은 건강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로 초기에는 증상이 없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장기에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고혈압 유병률은 27.2%로 전국민 네 명 중 한 명은 고혈압을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기도 하다. 하지만 고혈압성 질환은 10대 사망 원인에 들 정도로 위험하다.

혈압은 기온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기온이 1도 내려가면 수축기 혈압이 1mmHg 내외로 상승하기 때문에 고혈압 환자라면 환절기 건강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환절기 고혈압이 무서운 이유는 고혈압 자체보다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환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고혈압 합병증으로는 뇌출혈, 심근경색 등 심뇌혈관 질환들이 있다.

대표적 심혈관 질환에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이 있는데,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져 협심증과 심근경색이 발생할 수 있고 협심증은 제때 치료받지 않으면 혈관이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뇌출혈 역시 조심해야 한다. 낮아진 기온으로 혈관이 수축해 혈압이 상승하면 높아진 혈압을 이기지 못해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절기 고혈압 환자들은 가슴 통증, 어눌한 발음, 마비 등 협심증과 뇌출혈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찾아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

환절기 일교차로 인해 발생하는 혈압 상승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 관리가 중요하다. 실내외 온도 차가 많이 나지 않도록 조절해야 하며, 직장 생활 시 냉방기기 사용이 활발한 낮시간에는 얇은 옷을 여러 겹 입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고혈압 환자는 새벽 운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새벽은 혈압이 가장 높은 시간이자 일교차가 큰 시간으로 혈압이 순간 상승할 수 있어 피해야 한다. 규칙적 운동을 계획한다면 낮 혹은 저녁 시간대에 자신에 맞는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을 권한다. 대중 목욕탕 이용시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온탕 이용 후 체온이 급변하기 때문에 갑자기 찬바람을 쐬면 혈관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식습관도 중요하다. 염분의 과다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소금·간장·고추장 등 장류와 김치·젓갈·조미료 등 염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의 섭취를 최소화해야 한다. 술도 피해야 한다. 술은 혈관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지만 낮아진 기온으로 인해 혈관이 수축되면 혈압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온 변화는 교감신경계 활성화와 혈관 수축, 혈압 상승을 일으킨다. 환절기에는 생활 관리와 함께 규칙적으로 혈압을 체크하는 등 스스로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올바른 습관을 들이고 꾸준히 지켜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