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 41주년 기념식]독백 형식의 뮤지컬 드라마에 ‘가슴 찡해’
2021년 05월 18일(화) 20:20
여고생 일기·취재수첩·시민 성명서 활용
41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은 당시 상황을 담은 일기·취재수첩·성명서 등을 활용한 공연으로 눈길을 끌었다.

기념식 1막의 기념공연인 ‘기록을 말하다’는 여고생 일기장, 기자 취재수첩, 시민 성명서 등 5·18 당시를 적은 기록물 3편을 영상으로 재구성한 뒤 배우 3명이 독백을 하는 뮤지컬 드라마 형태로 꾸며졌다.

여성 배우가 독백하며 소개한 첫번째 기록은 유네스코 기록물로 등재된 당시 광주여고 3학년생이던 주소연씨 일기〈2020년 5월 18일 광주일보 8면〉다.

“이 사태를 직접 보지 않은 사람은 이 사태를 이야기할 수 없다”는 여성 배우 목소리로 시작하는 독백 형식의 공연에서는 “쓰러져 가는 많은 시민들을 보았는가. 시민군에게 호응하는 모든 광주시민을 보았는가”, “그 많은 수가 먹을 것에 구애 받지 않을 만큼 시민들의 호응이 컸다는 것을 아는가”, “외곽지대에서 계엄군이 주둔하고 있을 때 그들의 만행을 아는가. 광주시민 전체를 불순분자와 깡패로 본 정부를 인정하는가” 등 당시의 상황을 되묻고 “이외 모든 사실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이 사태를 안다고 이야기할 수 없다”라고 외쳤다.

당시 동아일보 광주 주재기자였던 김영택의 13일간 취재 일기는 독백 형식의 공연에서 두번째 기록물로 소개됐다.

남자 배우는 “19일 오후 4시 광주일고 인근 횡단보도 트럭 11대 공수대원 250명 뛰어내림. 반대편 전남대 학생 70~80명.”을 시작으로 취재 수첩 일부를 힘있게 읽었다.

“시민들 웅성웅성. 시민 여러분 돌아가십시오.” “공수부대원 일제히 곤봉. 길가던 신혼부부 영문 모른 채 참혹한 구타.” ‘비무장 학생에게 사격. 시민들 분개.“ 등 명사형으로 끝나는 짤막한 취재 기록임에도 읽힐 때마다 항쟁 참상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세 번째는 ‘1980년 5월25일 광주시민이 국민에게 드리는 글’(찬란한 민주의 꽃을 피울 그 날까지 총궐기하자)이다.

배우는 “자유와 평등이 공존함으로서 인간의 존엄성이 흐르는 민주국가 건설을 위하여 분연히 쓰러져간 수 많은 민주 영령께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라며 “우리 광주시민은 모두 하나가 되어 독재를 깨뜨리고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승리의 계기를 잡고 있습니다”라는 1980년 당시 성명서 내용을 다시 옮겼다.

마무리는 광주의 5월 씨앗을 바탕으로 민주의 꽃을 피우자는 내용이었다. 배우는 ”진정한 민주 사회가 건설되길 열망하는 국민 여러분. 역사의 심판이 내려질 그 날까지 우리 모두 이 민주 성전에 동참합시다“라며 ”다시는 독재의 구렁텅이로 빠지지 않고 이 땅에 찬란한 민주의 꽃을 피울 그날까지 우리 모두 총궐기합시다“라고 외쳤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