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 산골영화제] 하늘과 바람과 별 … 그리고 영화
2018년 06월 22일(금) 00:00 가가
6월21~25일
영화 보러 가서 정말 영화만 본다면 조금은 무료할 수 있다. 단순한 영화 관람 이상의 다양한 체험과 또 다른 볼거리가 있다면 어떨까.
6월 21일부터 25일까지 전북 무주군 등나무운동장 일대에서 열리는 ‘제6회 무주 산골영화제’는 그 자체가 체험형 극장이다. 무엇도 대체할 수 없는 자연의 생명력이 있기 때문이다. 초록빛으로 가득한 6월. 천연의 빛깔이 어우러지는 무주의 숲으로, ‘영화 소풍’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지역 매력과 영화 결합…힐링 콘텐츠로 부상
인구 2만 5000여 명의 소도시. 그리고 반딧불이가 서식하는 청정 자연으로 둘러싸인 전북 무주군. 이곳에서 열리는 ‘무주 산골영화제’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스크린 삼아 열리는 소풍 같은 영화제다. 별이 쏟아질 듯한 밤하늘을 스크린 삼아 영화를 볼 수도 있고, 라이브 연주가 함께 어우러지기도 한다.
대인원을 수용하는 ‘무주 등나무운동장’에서는 대중적인 영화 상영과 이에 어울리는 밴드 공연이 함께 한다. 캠핑하며 영화, 공연을 즐길 수 있는 ‘덕유산국립공원 대집회장’에서는 영상미가 아름다운 작품 및 35㎜필름 영화를 상영한다. ‘소집회장’에서는 가족 단위를 위한 교육, 인형극 등이 진행된다. ‘무주예체문화관’, ‘무주전통생활문화체험관’, ‘무주전통문화의집’에서는 실내상영이 이어진다.
◇올 영화제, 편안하고 따뜻한 작품 ‘풍성’
올해 여섯 번째 ‘무주 산골영화제’는 21일 개막해 25일까지 무주 등나무운동장, 덕유산국립공원 등지에서 이어진다.
상영작 수는 27개국 77편. ‘좋은 영화 다시 보기’를 주제로 다양한 장르·시기별 작품을 선정했다. 한국 장편영화 경쟁부문은 ‘죄 많은 소녀’(감독 김의석), ‘살아남은 아이’(감독 신동석) 등 9편. 이외에 실험적인 영화뿐만 아니라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영화들도 포진해 있다.
뛰어난 상상력을 자랑하는 ‘목소리의 형태’(감독 야마다 나오코), 12년에 걸쳐 완성된 판타지 작품 ‘나의 붉은 고래’(감독 양선·장춘), 황순원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소나기’ 등 애니메이션과 ‘아이 캔 스피크’(감독 김현석), ‘라이프 오브 파이’(감독 이안) 등 대중적으로 널리 사랑받은 작품도 상영한다. 또 올해는 특정 감독 작품을 조명하는 ‘무주 셀렉트: 동시대 시네아스트’섹션을 신설했다.
◇관광·책방·콘서트… 흥미 더할 이벤트
무주 산골영화제의 상징 또는 가장 화려한 놀 거리는 ‘개막식’ 아닐까. 개막식은 21일 오후 7시 무주 등나무운동장에서 열렸다.
개막작은 신상옥 감독의 1972년 영화 ‘효녀 심청’과 일렉트로 펑크밴드 ‘앗싸(AASSA)’의 공연을 결합한 ‘퓨전 음악극-AASSA, 필름 심청’이다. 개막작 상영 전 ‘그린카펫’과 조정치·하림·박재정의 축하 공연이 열린다.
산골영화제 구경은 지역 ‘무주’도 함께 즐기는 것. 매년 지역의 마을을 순회하며 상영하는 ‘마을로 가는 영화관’을 운영하는데, 올해는 무주에 새로 생긴 ‘향로산 자연휴양림’으로 간다.
영화제 기간 무주 예체문화관 앞에 모이면 해설사와 함께 2~3시간 코스의 지역 명소 관광을 할 수 있다. 지역 마을을 소개하는 책자도 발간한다.
이밖에 콘서트, 책방, 공방, 이벤트존이 무주 등나무운동장에서 펼쳐진다. ‘산골 콘서트’에는 정인, 제아, 에디킴, 데이브레이크 등이 무대에 오른다. 2인조 밴드‘이상한 계절’등 전북지역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실력 있는 음악인들도 만날 수 있다.
‘산골 책방’에서는 김소영·오상진 아나운서가 운영하는 ‘당인리 책발전소’가 추천한 도서들을 소개한다. 영화제 기간 시외 및 무주군 내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카셰어링 서비스도 연계한다.
/전북일보= 김보현 기자
※新팔도유람은 한국지방신문협회 9개 회원사가 공동 취재·보도합니다
6월 21일부터 25일까지 전북 무주군 등나무운동장 일대에서 열리는 ‘제6회 무주 산골영화제’는 그 자체가 체험형 극장이다. 무엇도 대체할 수 없는 자연의 생명력이 있기 때문이다. 초록빛으로 가득한 6월. 천연의 빛깔이 어우러지는 무주의 숲으로, ‘영화 소풍’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인구 2만 5000여 명의 소도시. 그리고 반딧불이가 서식하는 청정 자연으로 둘러싸인 전북 무주군. 이곳에서 열리는 ‘무주 산골영화제’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스크린 삼아 열리는 소풍 같은 영화제다. 별이 쏟아질 듯한 밤하늘을 스크린 삼아 영화를 볼 수도 있고, 라이브 연주가 함께 어우러지기도 한다.
대인원을 수용하는 ‘무주 등나무운동장’에서는 대중적인 영화 상영과 이에 어울리는 밴드 공연이 함께 한다. 캠핑하며 영화, 공연을 즐길 수 있는 ‘덕유산국립공원 대집회장’에서는 영상미가 아름다운 작품 및 35㎜필름 영화를 상영한다. ‘소집회장’에서는 가족 단위를 위한 교육, 인형극 등이 진행된다. ‘무주예체문화관’, ‘무주전통생활문화체험관’, ‘무주전통문화의집’에서는 실내상영이 이어진다.
![]() ![]() |
관객과의 대화 |
◇올 영화제, 편안하고 따뜻한 작품 ‘풍성’
올해 여섯 번째 ‘무주 산골영화제’는 21일 개막해 25일까지 무주 등나무운동장, 덕유산국립공원 등지에서 이어진다.
뛰어난 상상력을 자랑하는 ‘목소리의 형태’(감독 야마다 나오코), 12년에 걸쳐 완성된 판타지 작품 ‘나의 붉은 고래’(감독 양선·장춘), 황순원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소나기’ 등 애니메이션과 ‘아이 캔 스피크’(감독 김현석), ‘라이프 오브 파이’(감독 이안) 등 대중적으로 널리 사랑받은 작품도 상영한다. 또 올해는 특정 감독 작품을 조명하는 ‘무주 셀렉트: 동시대 시네아스트’섹션을 신설했다.
◇관광·책방·콘서트… 흥미 더할 이벤트
무주 산골영화제의 상징 또는 가장 화려한 놀 거리는 ‘개막식’ 아닐까. 개막식은 21일 오후 7시 무주 등나무운동장에서 열렸다.
개막작은 신상옥 감독의 1972년 영화 ‘효녀 심청’과 일렉트로 펑크밴드 ‘앗싸(AASSA)’의 공연을 결합한 ‘퓨전 음악극-AASSA, 필름 심청’이다. 개막작 상영 전 ‘그린카펫’과 조정치·하림·박재정의 축하 공연이 열린다.
산골영화제 구경은 지역 ‘무주’도 함께 즐기는 것. 매년 지역의 마을을 순회하며 상영하는 ‘마을로 가는 영화관’을 운영하는데, 올해는 무주에 새로 생긴 ‘향로산 자연휴양림’으로 간다.
영화제 기간 무주 예체문화관 앞에 모이면 해설사와 함께 2~3시간 코스의 지역 명소 관광을 할 수 있다. 지역 마을을 소개하는 책자도 발간한다.
![]() ![]() |
천체 관측 |
‘산골 책방’에서는 김소영·오상진 아나운서가 운영하는 ‘당인리 책발전소’가 추천한 도서들을 소개한다. 영화제 기간 시외 및 무주군 내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카셰어링 서비스도 연계한다.
/전북일보= 김보현 기자
※新팔도유람은 한국지방신문협회 9개 회원사가 공동 취재·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