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과 장소 조명
2025년 09월 03일(수) 14:40 가가
죽형조태일시인기념사업회 연간시지(年刊詩誌) ‘시인’ 2025년호 발간
한강 작가소설은 특성의 장소와 공간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소년이 온다’에 나타난 장소는 역사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환기한다.
죽형조태일시인기념사업회(이사장 박석무)가 발간하는 연간시지(年刊詩誌) ‘시인’ 2025년호(통권 43호)가 나왔다.
이번 호 특집은 ‘한국문학의 미래를 위하여’를 주제로 김영삼 평론가와 조진태 시인의 글이 실렸다.
김 평론가는 ‘한강의 소설이 경유한 장소들’을 통해 한강의 ‘소년이 온다’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과 장소를 조명한다. 80년 5월과 현재형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면밀히 살펴본다. 조 시인은 ‘오지 않을 미래를 위한 문학으로서의 5·18’을 주제로 한 글에서 “오월문학은 세대와 소재와 상황을 포괄하며 하나의 도도한 문학 장르로서 자기를 정립해 가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광주 출신 이성부 시인을 조명하는 글도 있다. 김청우 평론가가 ‘치유의 문학-이성부 시에 관한단상’, 백애송 평론가가 ‘산길, 그 너머의 시학’을 주제로 시인의 시적 상상력과 주제 등을 다층적으로 들여다본다.
제7회 조태일문학상 수상자인 김수열 시인 코너도 있다. 김 시인의 신작, 자선 시, 대담, 수상시집 ‘날혼’에 대한 서평도 만날 수 있다.
장은영 평론가는 광주의 주목할 만한 시인으로 김진선, 조온윤 시인의 작품 세계를 분석했다.
신작 시란에는 정희성, 안지은 등 중견에서부터 신예에 이르는 15명 시인들의 작품이 소개돼 있다.
황형철 사무국장은 “1969년 첫 발간된 ‘시인’지는 이후 곡절 끝에 복간과 중단이 됐지만 조태일 시인 25주기를 맞아 2024년 복간됐다”며 “이번 호에는 시인의 시 정신을 사유할 수 있는 다채로운 기획, 특집 등이 수록돼 있다”고 전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죽형조태일시인기념사업회(이사장 박석무)가 발간하는 연간시지(年刊詩誌) ‘시인’ 2025년호(통권 43호)가 나왔다.
김 평론가는 ‘한강의 소설이 경유한 장소들’을 통해 한강의 ‘소년이 온다’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과 장소를 조명한다. 80년 5월과 현재형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면밀히 살펴본다. 조 시인은 ‘오지 않을 미래를 위한 문학으로서의 5·18’을 주제로 한 글에서 “오월문학은 세대와 소재와 상황을 포괄하며 하나의 도도한 문학 장르로서 자기를 정립해 가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장은영 평론가는 광주의 주목할 만한 시인으로 김진선, 조온윤 시인의 작품 세계를 분석했다.
신작 시란에는 정희성, 안지은 등 중견에서부터 신예에 이르는 15명 시인들의 작품이 소개돼 있다.
황형철 사무국장은 “1969년 첫 발간된 ‘시인’지는 이후 곡절 끝에 복간과 중단이 됐지만 조태일 시인 25주기를 맞아 2024년 복간됐다”며 “이번 호에는 시인의 시 정신을 사유할 수 있는 다채로운 기획, 특집 등이 수록돼 있다”고 전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