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에도 공보의 등 필수의료는 썰렁
2025년 09월 03일(수) 00:00
의정 갈등으로 수련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복귀했지만 필수의료 과목 지원율은 극히 저조하다. 의료 취약지역인 전남의 공중보건의와 계약형 지역필수의사제 지원자도 필요 인력의 3분의 1 수준에 그쳐 필수의료 분야의 의료 공백은 여전하다.

광주·전남지역 수련병원의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인턴·레지던트) 모집 결과 지원율은 60%대에 머물렀다. 전남대병원은 390명 모집에 63%인 244명 지원했고 조선대병원은 159명 모집에 122명이 지원해 76%를 기록했지만 광주기독병원은 정원의 50%만 채웠다. 문제는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등 필수의료 과목인데 정원의 10~20% 밖에 지원하지 않은 곳이 많았다.

올해 전남지역 공중보건의(공보의) 충원율도 34.8%로 전남 시군에서 204명을 요청했지만 71명 밖에 배치되지 않았다. 전남을 비롯해 강원 등 전국 4개 시·도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계약형 지역필수의사제’도 전남의 경우 24명 모집에 8명만 지원했다. 계약형 지역필수의사제는 전문의 자격 취득 5년 이내 젊은 의사가 일정 기간 지역병원에 근무하겠다고 계약하면 정부와 지자체가 월 400만원의 근무수당과 숙소 및 주거비, 해외연수 등을 지원하는 제도이지만 반응은 썰렁했다.

의사들의 필수의료 외면 현상은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의료 취약지역인 광주·전남은 더 심각한 상황이다. 공보의의 경우 의무복무기간이 훈련기간을 포함하면 37개월로 18개월인 일반 병사보다 2배 가량 많다. 차제에 과감한 복무기간 단축으로 유명무실해지고 있는 공보의 제도를 살려야 한다. 계약형 지역필수의사제도 젊은 의사에 국한하지 말고 제약 조건을 완화하고 병원 선택지를 넓힐 필요가 있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