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수 위기’ 부른 상수도 정책 근본적 재설계를
2022년 11월 17일(목) 00:05 가가
극심한 가뭄으로 광주 지역에 30년 만의 제한 급수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강수량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광주시의 안일한 상수도 행정이 위기를 자초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수돗물이 줄줄 새는 노후 상수도관을 장기 방치하고 기존 수원지를 아무런 대책 없이 해제한 것이 대표적이다.
현재 광주 도심 지하에 깔린 상수도관 4046㎞ 중 20년 이상 된 노후 관로는 2013㎞로 거의 절반에 이른다. 낡은 상수도관은 수돗물 누수의 주범이 다. 광주시의 누수율은 5.2%로, 전국 특·광역시 평균인 4.8%를 상회한다. 대전의 1.7%에 비하면 세 배나 높다. 광주의 연간 누수량은 934만 톤으로 전체 시민이 20일 가까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그럼에도 노후 상수도관 교체 사업은 지지부진하기만 하다. 광주시는 내년도 예산안에 노후관 교체 예산으로 올해보다 29억 원 늘어난 114억 원을 배정했다. 상수도관 31㎞를 정비할 수 있는 금액이다. 이런 추세라면 당장 교체가 시급한 상수도관 229㎞를 정비하는 데도 10년 가까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광주시는 또한 최근 예비 식수원 중 하나인 제4 수원지를 41년 만에 상수원보호구역에서 해제했다. 환경단체들이 기후변화에 따른 비상 취수원 확보 등을 이유로 반대했음에도 외면했다. 더군다나 상수원 고갈로 불과 3~4개월 뒤면 제한 급수가 불가피하지만, 광주시는 시민들에게 물 절약 참여를 요청하는 캠페인 외에 가뭄 극복을 위한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영산강 물 끌어다 쓰기, 배수지 주변 관정 개발 등을 구상 중이지만 기술적 문제로 당장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해 물 부족은 갈수록 심화될 수밖에 없다. 광주시의 상수도 정책도 이에 맞춰 근본적으로 재설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시민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노후 상수도관의 조속한 정비와 대체 수원 개발 등 항구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다.
그럼에도 노후 상수도관 교체 사업은 지지부진하기만 하다. 광주시는 내년도 예산안에 노후관 교체 예산으로 올해보다 29억 원 늘어난 114억 원을 배정했다. 상수도관 31㎞를 정비할 수 있는 금액이다. 이런 추세라면 당장 교체가 시급한 상수도관 229㎞를 정비하는 데도 10년 가까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