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들 참담한 죽음, 철저한 원인 규명부터
2022년 11월 01일(화) 00:05
이태원 대참사로 인한 인명 피해가 사망 154명, 중상 33명, 경상 116명 등 모두 303명으로 늘었다. 특히 희생자 가운데 20대가 103명, 30대 30명, 10대 11명으로 젊은 생명들이 대부분이어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광주·전남에 연고가 있는 희생자도 열 명이나 됐다. 생때같은 자식을 잃은 부모들은 참척(慘慽)의 고통에 오열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났다고는 믿을 수 없는 참담한 비극이다. 이 때문에 참사가 일어난 동안 정부는 무엇을 했으며, 국민 안전을 책임져야 할 경찰과 지자체의 대응은 적절했는가 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역대 최대의 희생자를 낸 이번 압사 사고는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로 3년 만에 처음 마스크 없는 핼러윈 행사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인파 운집은 예견된 상황이었다.

경찰과 지자체도 사고 당일 10만 명의 인파가 좁고 제한된 공간에 모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태원 일대에는 사고 전날에도 수만 명이 몰렸고, 당일에도 지하철 이용객만 13만 명에 달했다. 그럼에도 대규모 인파 운집과 압사에 대비한 안전 조치는 없었다. 현장에 투입된 경찰 인력도 137명에 불과했고 그나마 범죄 예방 인력이 대다수였다.

이태원 상인들은 지난 2017년에는 경찰이 통제선을 만들어 안전 관리를 했으나 올해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더욱이 사고 사흘 전 핼러윈 주간에 대비한 간담회에서도 상인들이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제기하며 경찰과 지자체에 사전 통제를 요청했지만 별다른 조처가 없었다고 한다. 결국 각 기관들의 소극 행정이 피해를 키운 셈이다.

그럼에도 재난 대응을 담당하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사전 대비가 미흡했다는 지적에 대해 “경찰과 소방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다”고 밝혀 빈축을 사고 있다. 압사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사고 원인부터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제대로 된 대책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행사처럼 주최자가 따로 없는 자발적 행사에 대한 안전 관리 대책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