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2분기 물가 상승률 24년 만에 최고
2022년 08월 22일(월) 17:50 가가
호남통계청 ‘지역경제동향’
광주 고용률 전국 유일 ‘마이너스’
전남 체감물가 강원 이어 최고 상승
광주·전남 생산지표 평균 밑돌아
광주 고용률 전국 유일 ‘마이너스’
전남 체감물가 강원 이어 최고 상승
광주·전남 생산지표 평균 밑돌아
올해 2분기 광주·전남 물가 상승률이 24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22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호남권 지역경제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지역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분기보다 광주는 5.5%, 전남은 6.3% 상승했다.
올 2분기 물가는 같은 분기 기준으로 지난 1998년 2분기(광주 9.0%·전남 8.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광주·전남 물가 상승률은 전국 평균(5.4%)을 웃돌았다.
특히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남이 7.6%로, 전국 평균(6.6%)을 크게 웃돌뿐더러 강원(7.7%)에 이어 17개 시·도 중 가장 높았다.
광주는 2분기 고용률이 전년보다 떨어진 유일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광주 고용률은 58.6%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전국 평균 고용률은 전년보다 1.7%포인트 오른 62.7%로, 광주는 부산(57.2%)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고용률이 낮았다.
광주·전남을 포함한 13개 시·도는 연료비 상승 영향으로 2분기 소비가 전년 같은 분기보다 감소했다.
2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보다 광주는 1.6%, 전남은 0.8% 하락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과 연료비 상승의 영향으로 승용차·연료 소매점 판매가 줄어든 영향이다.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소매판매액지수가 오른 시·도는 대전(3.3%↑), 인천(2.6%), 경남(1.6%↑) 등 3곳뿐이었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숙박·음식점업 업황이 개선되며 2분기 서비스업 생산은 전국 모든 시도에서 일제히 증가했다.
광주와 전남 증가율 모두 3.8%로, 전국 평균 증가율(5.4%)을 밑돌았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전자 부품 등을 중심으로 12개 시·도에서 늘었다. 지역 광공업생산지수 증가율은 광주 1.5%·전남 2.9%로, 전국 평균(4.1%)에 못 미쳤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22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호남권 지역경제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지역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분기보다 광주는 5.5%, 전남은 6.3% 상승했다.
광주·전남 물가 상승률은 전국 평균(5.4%)을 웃돌았다.
특히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남이 7.6%로, 전국 평균(6.6%)을 크게 웃돌뿐더러 강원(7.7%)에 이어 17개 시·도 중 가장 높았다.
광주는 2분기 고용률이 전년보다 떨어진 유일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광주 고용률은 58.6%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전국 평균 고용률은 전년보다 1.7%포인트 오른 62.7%로, 광주는 부산(57.2%)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고용률이 낮았다.
2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보다 광주는 1.6%, 전남은 0.8% 하락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과 연료비 상승의 영향으로 승용차·연료 소매점 판매가 줄어든 영향이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숙박·음식점업 업황이 개선되며 2분기 서비스업 생산은 전국 모든 시도에서 일제히 증가했다.
광주와 전남 증가율 모두 3.8%로, 전국 평균 증가율(5.4%)을 밑돌았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전자 부품 등을 중심으로 12개 시·도에서 늘었다. 지역 광공업생산지수 증가율은 광주 1.5%·전남 2.9%로, 전국 평균(4.1%)에 못 미쳤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