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호우에 배수·저류 시설 인프라 확충 절실
2025년 07월 22일(화) 00:00 가가
이번에 광주시를 강타한 ‘극한 호우’는 배수와 저류 시설 인프라 확충 필요성을 제기하는 계기가 됐다. 이상 기후로 시간당 100㎜씩 내리는 극한 호우가 뉴노멀이 됐는데도 광주의 배수 시스템은 10년 빈도의 강수량에 맞춰져 있으니 도심 홍수가 일상화 될 수밖에 없다.
상습 침수지역인 북구 신안교와 산동교, 하신마을, 남구 백운광장, 서구 양동 태평교 등은 이번에도 큰 피해를 입었다. 백운광장 일대는 2년 전 하수관로를 더 큰 것으로 교체했지만 역부족이었고 신안교 일대에선 인명 피해까지 발생했다. 일상이 된 극한 호우에 맞게 배수 시스템을 새로 짜고 저류 시설을 늘리는 등 인프라 확충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대심도 빗물터널 조성을 극한 호우에 대비하는 대책의 하나로 추천하고 있다. 광주천 지하 30m 이상을 굴착해 비상시 이용할 수 있는 물길을 여는 방식인데 2020년 서울 양천구가 이 방식의 빗물터널을 조성해 시간당 100㎜의 극한 호우에 효과를 봤다. 문제는 막대한 사업비다. 광주천에 대심도 빗물터널을 조성하려면 7000억원의 사업비가 드는데 열악한 광주시 예산으로는 감당하기 힘들다.
사고 후 특별재난지역 선포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정부가 극한 호우에 대비해 배수 인프라 확충을 지원하는 것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보다 소를 잃지 않도록 평소에 외양간을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렇다고 지자체가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침수 취약지역에 소규모 저류지를 만들어 대비하는 등 예산을 많이 들이지 않더라도 가능한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차제에 광주시는 근본적인 극한 호우 대책을 마련하길 바란다.
전문가들은 대심도 빗물터널 조성을 극한 호우에 대비하는 대책의 하나로 추천하고 있다. 광주천 지하 30m 이상을 굴착해 비상시 이용할 수 있는 물길을 여는 방식인데 2020년 서울 양천구가 이 방식의 빗물터널을 조성해 시간당 100㎜의 극한 호우에 효과를 봤다. 문제는 막대한 사업비다. 광주천에 대심도 빗물터널을 조성하려면 7000억원의 사업비가 드는데 열악한 광주시 예산으로는 감당하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