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자영업자 대출 44조 돌파…고금리에 ‘초긴장’
2023년 01월 12일(목) 18:15
금리 1%P 오를 때 추가 이자 부담 연간 7500억원
잠재 취약 차주 증가…안심전환대출 적극 활용을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제공>

코로나19 사태 3년을 겪으면서 광주·전남 자영업자 대출이 가파르게 증가하며 44조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당분간 고금리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계대출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광주·전남 지역민들이 연간 부담해야 할 이자액이 7500억원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 같은 내용은 12일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전성범 과장과 김주리 조사역이 발표한 ‘최근 광주·전남지역 가계부채 및 취약차주 현황과 잠재리스크 점검’ 조사연구보고서에 담겼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지역 가계부채는 광주 47조8000억원·전남 46조5000억원 등 94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말보다 광주 가계부채는 16.4%(6조8000억원), 전남은 15.5%(6조3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영업자 가계부채는 광주 52.2%·전남 49.7% 증가하며, 가계부채 평균 증가율의 3배 수준을 웃돌았다.

자영업자 가계부채는 광주 7조7000억원·전남 10조7000억원 등 18조4000억원으로, 전체 가계부채에서 광주 16.1%·전남 23.0% 비중을 각각 차지했다. 이 비율은 3년 전보다 각각 3.8%포인트·5.3%포인트 늘었다.

광주·전남 자영업자 대출 규모는 가계부채 18조4000억원과 개인사업자 대출 26조원을 합해 모두 44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기업대출의 66.9%, 가계대출의 76.0% 비중을 차지하며, 기업 및 가계대출 총계(124조7000억원)의 35.6%에 달하는 수준이다.

지역 자영업자들은 2금융권에서 대출받은 비중이 은행권보다 많았고, 가계대출 증가율도 2금융권이 더 높았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자영업자 대출 가운데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은 광주 42.5%·전남 69.0%로, 예금은행(광주 40.7%·전남 18.1%) 비중을 웃돌았다.

2019년 말 대비 지난해 6월 자영업 가계대출 증가율도 비은행은 광주 53.4%·전남 54.8%로, 예금은행(광주 49.0%·전남 30.9%)보다 높았다. 특히 신용카드회사 등 기타금융 가계대출 증가율은 광주 57.7%·전남 53.4%에 달해 자영업자들의 가계대출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취약차주 가운데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했다. 취약차주는 3곳 이상에서 다중채무를 지닌 동시에 소득 하위 30%인 저소득층이거나 신용점수 664점 이하 저신용인 차주를 말한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지역 취약차주 가운데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광주 17.0%·전남 31.7%, 지난 2019년 말 비중보다 각각 2.5%포인트·10.2%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영업 취약차주는 광주 33.9%·전남 50.6% 증가했는데,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광역시 0%·도지역 15.8%)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6차례 연속 국내 기준금리가 인상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추가 인상이 점쳐지는 가운데 금리 1.0%포인트가 오르면 지역민들은 연간 7500억원 가까운 이자액을 더 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관 가계대출 금리가 같게 오른다고 가정하면 금리가 1.0%포인트 인상할 때 연간 추가 이자 부담액은 광주 3705억원·전남 3765억원 등 7470억원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9월 기준 금리 4%를 기준으로 산출한 예금은행 가계대출 연간 이자액은 광주 1조9105억원·전남 1조8582억원이었다.

여기에 1%포인트 오른 5% 금리를 적용한 이자액은 광주 2조2810억원·전남 2조2347억원으로, 이전보다 각각 광주 19.4%(3705억원)·전남 20.3%(3765억원) 늘었다.

한은은 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중을 고려해 연간 추가 이자 부담액을 산출했는데, 지난해 6월 기준 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중(잔액 기준)은 예금은행 78.5%·비은행예금취급기관 91%에 달했다.

전 과장은 “광주·전남 취약차주는 자영업자에서 많았으며, 예금은행에 비해 금리 수준이 높은 비은행금융기관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다”며 “잠재 취약차주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차주는 기존 변동금리 대출을 고정금리로 바꿀 수 있는 안심전환대출과 같은 상품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자영업자를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소상공인 특례보증·청년창업 특례보증 등 공적 신용보증 제도를 확대해 자영업자의 금융거래 기회를 확대하고 자금조달 비용을 인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