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승격 20년’ 5·18묘지 새 청사진 그린다
2022년 09월 01일(목) 20:10 가가
보훈처 발전방안 수립 용역 발주…역사교육장 겸 공원으로 전환
포화 1묘역 확장해 2묘역과 합치는 방안 골자로 대대적 리모델링
향후 4000기 가까운 추가 묘역 필요…설문조사 진행 등 의견 수렴
포화 1묘역 확장해 2묘역과 합치는 방안 골자로 대대적 리모델링
향후 4000기 가까운 추가 묘역 필요…설문조사 진행 등 의견 수렴
국가보훈처가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이하 5·18묘지)의 국립묘지 승격 20년을 맞아 새 청사진 마련에 나섰다. 유공자들이 묻히고 싶어하지 않는 2묘역을 1묘역과 통합하고, 향후 안장될 유공자 수요 등을 고려한 5·18묘지 중장기 발전 방안 수립에 나선 것이다. 세대와 지역을 뛰어넘어 5·18의 산 교육장으로 위상과 품격을 높이겠다는 것이 보훈처 방침이어서 향후 대대적인 리모델링이 예상된다.
보훈처 산하 국립5·18민주묘지는 1일 “‘국립5·18민주묘지 발전방안 수립 연구용역’ 수행 업체에 조선대학교 산학협력관이 선정돼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훈처가 5·18묘지 발전 방안 수립에 나선 이유는 ▲세대와 지역을 초월한 열린 국립묘지로의 발전 필요성 ▲묘지라는 이미지를 넘어선 5·18민주화운동 역사의식 고취와 희생자를 기리는 살아있는 역사 교육장이자 공원으로의 전환 ▲유공자 수보다 현저히 적은 안장 공간으로 인한 묘역 확충 필요성 때문이다.
보훈처는 용역 발주 배경에 대해 국립5·18민주묘지의 국립묘지 승격(2002년 7월) 20주년을 맞아, 국립묘지로서 위상과 품격을 제고하고 세대와 지역을 초월한 열린 국립묘지로 발전시킬 필요성 때문이라고 밝혔다.
직접적 계기는 묘지의 수용능력(2000기)보다 유공자가 수가 4000명가량 많고, 2묘역 안장을 꺼리는 5·18민주유공자들의 민원 때문으로 알려졌다.
현재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는 5800명(고인 포함)이 넘지만 1·2묘역에 안장 가능한 유공자는 이미 매장된 이들까지 포함해 2000기에 불과하다. 또한 제 1묘역은 이미 매장 가능한 공간이 없는데 5·18민주유공자들이 제 2묘역에는 묻히고 싶어하지 않는 점도 고려됐다.
제 2묘역은 재단과 참배시설이 없고 비가 오는 날이면 묘역 일부가 물웅덩이로 변하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또한 5·18묘지 참배객들 대부분이 추모탑과 제단 등이 갖춰진 제 1묘역만 방문하는 점도 5·18민주유공자들이 2묘역 안장을 기피하는 이유다.
황일봉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 회장은 “유공자들은 2묘역에 안장되거나 추가 묘역을 조성하는 것보다는 1묘역의 확장을 원하고 있다. 이런 점을 보훈처가 받아들이면서 중장기 묘지 발전 방안 수립에 나선 것”이라고 전했다.
보훈처는 이번 용역을 통해 향후 안장될 유공자들의 규모를 파악해 묘역을 확충하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또 지질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묘역의 토질·투수성 분석 및 지형·지리학적 구조 분석도 진행할 방침이다.
용역 결과와 최종 의사 결정에 따라 매년 5·18 정부 기념식이 열리는 공간에 변화가 되는 등 묘지 전반이 이전과는 크게 다르게 재정비 될 가능성도 있다. 보훈처가 시민사회, 5·18유공자 단체 등과 사전에 충분한 논의 없이 리모델링에 나섰다가는 논란을 부를 가능성도 있다. 이에 보훈처는 안장 대상자와 유가족, 오월단체와 관련 설문조사도 진행하는 등 의견도 충분히 수렴하기로 했다.
김범태 국립5·18민주묘지 소장은 “연내 나올 용역 결과를 토대로 연차별 투자 계획, 사업 우선순위를 정해 단계적으로 묘지를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시민과 오월단체 등 여론을 충분히 수렴해 5·18민주화운동의 위상과 품격을 높이고, 묘지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립5·18묘지는 1994년 11월 조성공사가 시작됐다. 총 261억원(국비 223억 원, 시비 38억 원)을 들여 1997년 5월 완공됐다. 2002년 7월 국립묘지로 승격된 데 이어, 2006년 ‘국립 5·18민주묘지’로 이름이 변경됐다. 광주 금남로 5·18 광장에서 열린 2020년 40주년 정부기념식을 제외하고 2000년부터 정부 차원의 기념식이 이곳에서 열리고 있다.
제 1묘역은 9900㎡ 규모로 안장 능력은 782기다. 2011년 1묘역이 포화하면서 도보로 5분 거리의 숭모루와 후문 일원에 2017년 1만 6000㎡ 규모로 2묘역을 조성했다. 2묘역의 수용 규모는 1184기이며, 현재 고인이 된 유공자 153분이 모셔져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보훈처가 5·18묘지 발전 방안 수립에 나선 이유는 ▲세대와 지역을 초월한 열린 국립묘지로의 발전 필요성 ▲묘지라는 이미지를 넘어선 5·18민주화운동 역사의식 고취와 희생자를 기리는 살아있는 역사 교육장이자 공원으로의 전환 ▲유공자 수보다 현저히 적은 안장 공간으로 인한 묘역 확충 필요성 때문이다.
현재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는 5800명(고인 포함)이 넘지만 1·2묘역에 안장 가능한 유공자는 이미 매장된 이들까지 포함해 2000기에 불과하다. 또한 제 1묘역은 이미 매장 가능한 공간이 없는데 5·18민주유공자들이 제 2묘역에는 묻히고 싶어하지 않는 점도 고려됐다.
제 2묘역은 재단과 참배시설이 없고 비가 오는 날이면 묘역 일부가 물웅덩이로 변하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또한 5·18묘지 참배객들 대부분이 추모탑과 제단 등이 갖춰진 제 1묘역만 방문하는 점도 5·18민주유공자들이 2묘역 안장을 기피하는 이유다.
황일봉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 회장은 “유공자들은 2묘역에 안장되거나 추가 묘역을 조성하는 것보다는 1묘역의 확장을 원하고 있다. 이런 점을 보훈처가 받아들이면서 중장기 묘지 발전 방안 수립에 나선 것”이라고 전했다.
보훈처는 이번 용역을 통해 향후 안장될 유공자들의 규모를 파악해 묘역을 확충하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또 지질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묘역의 토질·투수성 분석 및 지형·지리학적 구조 분석도 진행할 방침이다.
용역 결과와 최종 의사 결정에 따라 매년 5·18 정부 기념식이 열리는 공간에 변화가 되는 등 묘지 전반이 이전과는 크게 다르게 재정비 될 가능성도 있다. 보훈처가 시민사회, 5·18유공자 단체 등과 사전에 충분한 논의 없이 리모델링에 나섰다가는 논란을 부를 가능성도 있다. 이에 보훈처는 안장 대상자와 유가족, 오월단체와 관련 설문조사도 진행하는 등 의견도 충분히 수렴하기로 했다.
김범태 국립5·18민주묘지 소장은 “연내 나올 용역 결과를 토대로 연차별 투자 계획, 사업 우선순위를 정해 단계적으로 묘지를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시민과 오월단체 등 여론을 충분히 수렴해 5·18민주화운동의 위상과 품격을 높이고, 묘지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립5·18묘지는 1994년 11월 조성공사가 시작됐다. 총 261억원(국비 223억 원, 시비 38억 원)을 들여 1997년 5월 완공됐다. 2002년 7월 국립묘지로 승격된 데 이어, 2006년 ‘국립 5·18민주묘지’로 이름이 변경됐다. 광주 금남로 5·18 광장에서 열린 2020년 40주년 정부기념식을 제외하고 2000년부터 정부 차원의 기념식이 이곳에서 열리고 있다.
제 1묘역은 9900㎡ 규모로 안장 능력은 782기다. 2011년 1묘역이 포화하면서 도보로 5분 거리의 숭모루와 후문 일원에 2017년 1만 6000㎡ 규모로 2묘역을 조성했다. 2묘역의 수용 규모는 1184기이며, 현재 고인이 된 유공자 153분이 모셔져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