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회 아닌 시민단체 주관으로 사상 첫 추모제 열린 까닭은
2022년 05월 17일(화) 19:40 가가
공법단체 구성 놓고 유족회 갈등
올해 5·18행사위원회 주관 개최
올해 5·18행사위원회 주관 개최


제42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시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유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1980년 당시 수습위원으로 활동하다 희생된 故 윤영규 열사의 부인인 이귀임 여사가 헌화를 하기위해 부축을 받으며 이동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5·18민중항쟁 제42주년 추모제가 5·18 유족과 여야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17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엄수됐다.
추모제는 5·18묘지에 잠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일종의 제사로 줄곧 5·18민주유공자 유족회 주관으로 치러졌으나, 이번에는 42년만에 처음으로 시민단체 연합체격인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가 제수용품 준비 등 행사 전반을 주관했다.
5·18민주유공자 유족회는 이날 오전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유족과 여야 정치인 등이 참여한 가운데 5·18민중항쟁 42주년 추모제를 진행했다.
추모제는 정부기념식과 별개로 5·18유족회가 주관해 치렀지만 올해는 달랐다. 광주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5·18민중항쟁행사위 측이 제사용품 등 행사 전반을 준비했다. 다만 초헌·아헌·종헌 등 희생자 제례와 유족 인사말 등 추모식에서는 김영훈 전 유족회장과 박해숙 유족회장이 행사 전면에 나서 외견상으로는 과거와 다를 바 없는 추모제로 비쳐졌다.
그러나 5·18 관련 단체와 추모제 사정을 잘 아는 한 인사는 “5월 단체를 공법단체로 전환해 구성하는 것을 앞두고 유족회 내부 주도권 다툼이 벌어지면서 각종 고소·고발전이 최근까지 이어졌다”며 “이번 추모제가 유족회가 아닌 시민단체로 구성된 ‘5·18 행사위’ 주도로 준비된 것도 이 때문”이라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이번 추모제 참석 인원과 빈 좌석들을 봐라. 예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5월 단체의 중심격인 유족회가 하루빨리 정상화돼야 한다”며 안타까워했다. 실제 이날 추모제에는 200여개의 의자가 준비됐으나 자리를 채운 것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뿐만아니라 추모제 식순 등을 담은 소책자에 유족회장 이름이 잘못 적힌 것을 두고도 잠시 소란이 벌어지는 등 행사가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추모제는 5·18묘지에 잠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일종의 제사로 줄곧 5·18민주유공자 유족회 주관으로 치러졌으나, 이번에는 42년만에 처음으로 시민단체 연합체격인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가 제수용품 준비 등 행사 전반을 주관했다.
추모제는 정부기념식과 별개로 5·18유족회가 주관해 치렀지만 올해는 달랐다. 광주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5·18민중항쟁행사위 측이 제사용품 등 행사 전반을 준비했다. 다만 초헌·아헌·종헌 등 희생자 제례와 유족 인사말 등 추모식에서는 김영훈 전 유족회장과 박해숙 유족회장이 행사 전면에 나서 외견상으로는 과거와 다를 바 없는 추모제로 비쳐졌다.
뿐만아니라 추모제 식순 등을 담은 소책자에 유족회장 이름이 잘못 적힌 것을 두고도 잠시 소란이 벌어지는 등 행사가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