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기택의 ‘고향 유정’…전 재산 기부하고 떠났다
2022년 03월 24일(목) 21:20 가가
‘아빠의 청춘’ 해남 출신 가수 오기택 별세…해남고에 장학금
1960년대 서민 꿈과 애환 노래…‘고향 무정’ 등 수 많은 히트곡
‘저음의 마법사’ 별명…전국체전 골프 3관왕 등 ‘만능 스포츠맨’
1960년대 서민 꿈과 애환 노래…‘고향 무정’ 등 수 많은 히트곡
‘저음의 마법사’ 별명…전국체전 골프 3관왕 등 ‘만능 스포츠맨’
1960년대를 풍미한 원로가수 오기택이 23일 오후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
해남군 북평면(현 북일면) 월성리에서 태어난 그는 해남중학교를 졸업한 후 외삼촌의 도움으로 상경했다. 성동기계공고를 졸업하고 1961년 KBS 주최 직장인 노래자랑에서 1등을 한 것이 가수의 길을 걷게 된 계기였다.
박성서 대중음악평론가는 “당시 콩쿠르에서 불렀던 노래가 지도교사였던 작곡가 장일성이 대회 출전용으로 만들어 준 ‘비극에 운다’였다”며 “아마추어 콩쿠르에서는 관객이나 심사위원에게 친숙한 곡을 부르기 마련인데, 예비가수로서 창작곡으로 출전했다는 것은 그만큼 가창력에 자신이 있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인은 이듬해인 1962년 4월 20일 계약금 5000원을 받고 당시 메이저 음반사였던 신세기와 전속 가수 계약을 맺으면서 가수 활동에 닻을 올렸다.
그를 스타로 만들어 준 노래는 1963년 취입한 ‘영등포의 밤’이다. 이 노래는 산업 현장에서 고단한 삶을 이어가던 당시 서민의 꿈과 애환이 담긴 노래로, 1966년에는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됐다.
오기택은 1963년 4월 해병대 군예대에 입대했지만, 입대 후에도 그의 노래들은 계속해서 TV와 라디오에서 전파를 탔다. 군 복무 중에도 틈틈이 음반을 취입해 결과적으로는 공백기 없이 히트곡을 계속 내놨다.
그는 제대 후 ‘고향 무정’, ‘아빠의 청춘’, ‘남산 블루스’, ‘충청도 아줌마’, ‘비 내리는 판문점’ 등을 잇달아 히트시키며 1960년대 간판 인기 가수로 등극했다. 특유의 매력적인 저음으로 노래를 불러 ‘저음의 마법사’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오기택은 1979년에는 한국연예협회(현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가수분과위원장을 맡아 가수들의 친목과 권익을 위해 앞장섰다.
고인은 가수 활동 외에도 ‘만능 스포츠맨’으로 이름을 날렸다.
가수 이력서는 종이 두 장 분량이지만, 골프 이력서는 무려 4장 분량에 별지까지 첨부됐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골프를 좋아했다.
실제로 그는 1981년부터 3년간 전국체전 전남 대표 골프선수로도 활동해 단체 금메달과 개인 1위 등 3관왕에 오르기도 했다.
고인은 1996년 바다낚시를 갔다가 사고로 크게 다쳐 건강이 악화했다. 이후 지병으로 치료를 받다 최근 증세가 악화해 유명을 달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그의 고향인 해남에서는 2007년부터 매년 ‘오기택 가요제’가 열리고 있다.
2010년 ‘영등포의 밤’의 무대인 서울 영등포구에는 이 노래를 기리는 노래비가 세워졌다. 2018년에는 고향인 전남 해남에 ‘오기택 노래비’도 만들어졌다.
오기택은 2010년 영등포구 노래비 제막식에 휠체어를 타고 참석해 “이 노래는 어려웠지만, 희망이 있던 시절인 1963년 취입했다”며 “긴 세월이 흘러 영등포 중심부에 노래비가 세워져 감격스럽다”고 소감을 밝힌 바 있다.
평생 미혼으로 지낸 고인은 생전 자신의 전 재산을 고향 해남고에 장학금으로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유연재 기자 yjyou@·연합뉴스
해남군 북평면(현 북일면) 월성리에서 태어난 그는 해남중학교를 졸업한 후 외삼촌의 도움으로 상경했다. 성동기계공고를 졸업하고 1961년 KBS 주최 직장인 노래자랑에서 1등을 한 것이 가수의 길을 걷게 된 계기였다.
고인은 이듬해인 1962년 4월 20일 계약금 5000원을 받고 당시 메이저 음반사였던 신세기와 전속 가수 계약을 맺으면서 가수 활동에 닻을 올렸다.
그는 제대 후 ‘고향 무정’, ‘아빠의 청춘’, ‘남산 블루스’, ‘충청도 아줌마’, ‘비 내리는 판문점’ 등을 잇달아 히트시키며 1960년대 간판 인기 가수로 등극했다. 특유의 매력적인 저음으로 노래를 불러 ‘저음의 마법사’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오기택은 1979년에는 한국연예협회(현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가수분과위원장을 맡아 가수들의 친목과 권익을 위해 앞장섰다.
고인은 가수 활동 외에도 ‘만능 스포츠맨’으로 이름을 날렸다.
가수 이력서는 종이 두 장 분량이지만, 골프 이력서는 무려 4장 분량에 별지까지 첨부됐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골프를 좋아했다.
실제로 그는 1981년부터 3년간 전국체전 전남 대표 골프선수로도 활동해 단체 금메달과 개인 1위 등 3관왕에 오르기도 했다.
고인은 1996년 바다낚시를 갔다가 사고로 크게 다쳐 건강이 악화했다. 이후 지병으로 치료를 받다 최근 증세가 악화해 유명을 달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그의 고향인 해남에서는 2007년부터 매년 ‘오기택 가요제’가 열리고 있다.
2010년 ‘영등포의 밤’의 무대인 서울 영등포구에는 이 노래를 기리는 노래비가 세워졌다. 2018년에는 고향인 전남 해남에 ‘오기택 노래비’도 만들어졌다.
오기택은 2010년 영등포구 노래비 제막식에 휠체어를 타고 참석해 “이 노래는 어려웠지만, 희망이 있던 시절인 1963년 취입했다”며 “긴 세월이 흘러 영등포 중심부에 노래비가 세워져 감격스럽다”고 소감을 밝힌 바 있다.
평생 미혼으로 지낸 고인은 생전 자신의 전 재산을 고향 해남고에 장학금으로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유연재 기자 yjyou@·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