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산단 상생 … 에너지밸리 성공 열쇠
2016년 05월 30일(월) 00:00 가가
나주 빛가람혁신도시에 들어서는 에너지밸리가 주목받는 것은 광주·전남 지역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에너지밸리의 성공 여부에 따라 기존의 이 지역 산업단지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대거 입주하는 에너지밸리가 차질없이 조성되고 정상 궤도에 오르는 지역의 산업과 연계·발전하는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역 전문가들의 설문조사에서도 지적됐다. 지난해 진행된 광주전남연구원의 설문조사를 살펴보면 지역 전문가들은 에너지밸리를 구축할 모델과 참여 주체도 중요하다고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에너지밸리 조성을 위한 공간적 범위로 ‘혁신도시 주변 광주·전남 산업단지 모든 구역을 포함해야 한다’(49.6%)는 지적이 가장 많았고, ‘혁신도시 나주 인근 산단까지 포함’(30.3%), ‘혁신도시 산학연클러스터 구역만 포함’(7.6%), ‘지리적 범위에서 벗어나 광역적 개방형 구역 설정’(7.6%) 순으로 답했다.
에너지밸리가 시너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지역의 산단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야 한다. 또 이를 통해 지역 산단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
에너지밸리가 풀어야 할 숙제는 이미 빛가람혁신도시 조성 과정에서 드러났다. 애초 기대와는 달리 많은 이전기관 직원들이 나주 거주를 포기하고 있다. 나주 대신 광주에서 가족과 거주하거나 아예 떨어져 사는 것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나주에서 살더라도 주소지를 옮기지 않는 일도 생겨나고 있다. 이는 자녀의 진학 등 생활 전반에서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나주 대신 기존의 주소지를 고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혁신도시 인구는 지난달 말 현재 1만5303명으로, 지난 2015년 9월 15일 1만명을 넘어선 이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혁신도시로 인해 나주시 전체 인구도 최근 10만명을 회복했다. 하지만 나주시 등에 따르면 주소지 이전을 하지 않고 혁신도시에서 거주하고 있는 외지인이 5000명을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실제로 혁신도시 내 한 오피스텔은 전체 1227세대가 모두 분양돼 주민이 입주했지만 이 가운데 449세대만 주소지 전입을 마친 것으로 조사됐다. 무려 778세대는 거주하면서 주소지를 옮기지 않은 유령인구인 셈이다.
주변산단과 에너지밸리, 혁신도시 이전기관의 협력은 지역 경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전 기관과 지역 경제의 협력·발전은 전국 각지에 혁신도시를 조성한 이유이기도 하다. 파급력이 있는 공공기관이 지역 곳곳으로 내려가 지역을 살리자는 게 혁신도시 조성의 목적이다.
이전 기업들이 마음 놓고 일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이 잘 사는 길을 찾는 게 에너지밸리 조성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이는 이전공공기관의 파급력을 엿볼 수 있는 외부위탁사업을 들여다 보면 더욱 뚜렷해진다.
빛가람혁신도시 이전 기관이 지난 2011년∼2014년 외부위탁사업을 통해 발주한 사업은 2만2134건이며 금액으로 환산하면 3조7722억원에 달한다. 이 중 에너지군 발주금액 비중이 전체의 71.9%를 차지하고 발주 건수 비중도 전체의 50,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빛가람혁신도시 이전 기관 중 한전 등 에너지 관련 분야의 파급력이 크고, 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에너지밸리의 지역 경제 파급력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나주에 새로이 둥지를 튼 이들 16개 이전기관의 외부 발주 현황을 보면 상황을 그리 좋지 않다.
한전 등 16개 기관이 지난 2011년∼2014녀 외부 발주 현황을 보면 전체 3조7722억원 중 광주·전남지역 발주는 1192억8700만원에 불과하다. 전체 중 1/37 가량만이 발주한 셈이다. 건수도 1537건에 그쳤다.
이중 한전은 2조7014억3500만원을 발주했지만 광주·전남발주는 662억1600만원에 그쳤고, 한전KPS는 12억6600만원 발주에 광주·전남발주는 1억8000만원뿐이었다.
에너지밸리와 지역 산단을 연계하는 작업은 조성 초기부터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에너지밸리 지원센터, 에너지융복합소재부품 연구센터, 에너지 실증연구단지, 한국전기연구원 광주지역조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지역조직, 전력연구원 분원 등의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에너지밸리와 지역 산단을 연계하고 맞춤식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조직과 기관이 설립을 앞두고 있다.
또 산학 융합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도 준비되고 있다. 에너지밸리에서 생겨 난 일자리에 준비된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관련 캠퍼스를 조성해야 한다.
에너지밸리 조성은 정체기를 겪고 있는 광주·전남지역 산단에도 순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밸리와 기존 산단이 상생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전문가들은 이를 위해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에너지밸리 기반 조성 초기에는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을 하고, 조금을 범위를 넓혀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전문연구센터 등을 중심으로 에너지밸리와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벤처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오광록기자 kroh@kwangju.co.kr
--------------------------------------------------------------------------------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취재 지원으로 작성됐습니다.
특히 나주에서 살더라도 주소지를 옮기지 않는 일도 생겨나고 있다. 이는 자녀의 진학 등 생활 전반에서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나주 대신 기존의 주소지를 고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혁신도시 인구는 지난달 말 현재 1만5303명으로, 지난 2015년 9월 15일 1만명을 넘어선 이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혁신도시로 인해 나주시 전체 인구도 최근 10만명을 회복했다. 하지만 나주시 등에 따르면 주소지 이전을 하지 않고 혁신도시에서 거주하고 있는 외지인이 5000명을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실제로 혁신도시 내 한 오피스텔은 전체 1227세대가 모두 분양돼 주민이 입주했지만 이 가운데 449세대만 주소지 전입을 마친 것으로 조사됐다. 무려 778세대는 거주하면서 주소지를 옮기지 않은 유령인구인 셈이다.
주변산단과 에너지밸리, 혁신도시 이전기관의 협력은 지역 경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전 기관과 지역 경제의 협력·발전은 전국 각지에 혁신도시를 조성한 이유이기도 하다. 파급력이 있는 공공기관이 지역 곳곳으로 내려가 지역을 살리자는 게 혁신도시 조성의 목적이다.
이전 기업들이 마음 놓고 일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이 잘 사는 길을 찾는 게 에너지밸리 조성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이는 이전공공기관의 파급력을 엿볼 수 있는 외부위탁사업을 들여다 보면 더욱 뚜렷해진다.
빛가람혁신도시 이전 기관이 지난 2011년∼2014년 외부위탁사업을 통해 발주한 사업은 2만2134건이며 금액으로 환산하면 3조7722억원에 달한다. 이 중 에너지군 발주금액 비중이 전체의 71.9%를 차지하고 발주 건수 비중도 전체의 50,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빛가람혁신도시 이전 기관 중 한전 등 에너지 관련 분야의 파급력이 크고, 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에너지밸리의 지역 경제 파급력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나주에 새로이 둥지를 튼 이들 16개 이전기관의 외부 발주 현황을 보면 상황을 그리 좋지 않다.
한전 등 16개 기관이 지난 2011년∼2014녀 외부 발주 현황을 보면 전체 3조7722억원 중 광주·전남지역 발주는 1192억8700만원에 불과하다. 전체 중 1/37 가량만이 발주한 셈이다. 건수도 1537건에 그쳤다.
이중 한전은 2조7014억3500만원을 발주했지만 광주·전남발주는 662억1600만원에 그쳤고, 한전KPS는 12억6600만원 발주에 광주·전남발주는 1억8000만원뿐이었다.
에너지밸리와 지역 산단을 연계하는 작업은 조성 초기부터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에너지밸리 지원센터, 에너지융복합소재부품 연구센터, 에너지 실증연구단지, 한국전기연구원 광주지역조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지역조직, 전력연구원 분원 등의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에너지밸리와 지역 산단을 연계하고 맞춤식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조직과 기관이 설립을 앞두고 있다.
또 산학 융합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도 준비되고 있다. 에너지밸리에서 생겨 난 일자리에 준비된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관련 캠퍼스를 조성해야 한다.
에너지밸리 조성은 정체기를 겪고 있는 광주·전남지역 산단에도 순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밸리와 기존 산단이 상생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전문가들은 이를 위해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에너지밸리 기반 조성 초기에는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을 하고, 조금을 범위를 넓혀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전문연구센터 등을 중심으로 에너지밸리와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벤처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오광록기자 kroh@kwangju.co.kr
--------------------------------------------------------------------------------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취재 지원으로 작성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