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폄훼’ 매체에 혈세…넋 나간 기관들
2025년 03월 19일(수) 00:00
광주·전남지역 자치단체와 교육청, 의회 등이 5·18민주화운동을 지속적으로 왜곡·폄훼 해온 극우 매체에 혈세로 광고를 집행해 온 사실이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의원실이 제공한 ‘스카이데일리 광고 집행 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2월까지 14개월 동안 광주·전남지역 13개 기관이 이 매체에 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관별로 보면 지방자치단체 9곳, 지방의회 3곳, 광주시교육청,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등이다.

장흥군이 7번에 걸쳐 1407만원으로 가장 많고 나주시가 6번에 605만원, 담양군·진도군 385만원 등 자치단체가 횟수나 액수면에서 많았다. 5·18민주화운동 교육을 담당해온 광주시교육청도 100만원을 혈세로 집행했다.

스카이데일리는 수차례에 걸쳐 5·18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부르고 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하는 등 역사적 가치를 폄훼해 5·18기념재단으로부터 고발당한 극우 매체다. 최근 탄핵정국 상황에선 부정선거와 중국 간첩 개입설 등 음모론으로 극우 세력들의 세 결집을 조장해 지탄받고 있다.

5·18을 왜곡하고 가치를 폄훼한 매체에 지역 기관들이 혈세로 광고를 해왔다니 기가 찰 일이다. 사실이 알려진 후 해당 기관장들이 사과문을 발표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고 있지만 차제에 광고성 홍보비 집행을 제대로 들여다 보아야 한다. 해당 기관들도 밝혔듯이 홍보성 기사를 내준다고 하면 매체의 특성을 확인도 하지 않고 광고비를 집행해 온 것이 현실이다.

기관들은 출입하는 언론사의 성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매체별 발행 부수 등 영향력도 평가해 거기에 맞는 광고비 집행 원칙을 세워야 한다. 그것이 혈세를 낭비하지 않고 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법이다. 문제를 일으킨 매체에 대한 출입 정지 등 강력한 조치도 뒤따라야 한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