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총리, 비상계엄사태 사과
2024년 12월 11일(수) 17:10
“반대 의사 분명히 했고, 궁극적으로 막지 못해 죄책감 느낀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진행된 ‘윤석열 대통령 위헌적 비상계엄 선포 내란행위 관련 긴급현안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1일 ‘12·3 비상계엄 사태’에 사과했다.

한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12월 3일 저녁에 대통령실 도착 이후에 인지했다.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고, 대통령의 그런 의지를 설득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궁극적으로 막지 못했다. 정말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또 죄송하게 생각하고, 또 많은 죄책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3일 국무회의에서 계엄에 찬성한 국무위원이 있었느냐는 질의에는 “전원 다 반대하고 걱정했다”면서 “대한민국 경제, 그리고 신인도의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이고, 국민들의 수용성도 없을 것이라고 말씀드렸다. 국무회의 자체가 많은 절차적·실체적 흠결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국무회의를 개최하려고 한 것은 계엄의 절차적 흠결을 보호하려는 것이 아니었다”며 “국무회의를 명분으로 국무위원들이 모여 좀 더 많은 국무위원이 반대하고, 의견과 걱정을 제시함으로써 계엄을 막고자 하는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경찰 국가수사본부에서 피의자 소환 통보에 대해 “수사기관과 협의해 충실하게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한 총리는 이날 국회 출석 직전 ‘국민께 드리는 말씀’ 메시지를 통해 “12월 3일 밤 비상계엄 선포 과정에서 일관되게 반대했으나 끝내 막지 못한 것을 깊이 자책하고 있다”고 계엄 사태 이후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한 총리는 “지금 대한민국은 전에 없던 엄중한 상황에 처해 있다”며 “국가의 안위와 국민의 일상이 흔들림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현 상황을 조기에 수습하고, 헌법과 법률에 따라 안정적으로 국정이 운영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저를 포함한 내각은 이 목표를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며 “한평생 저를 믿고 많은 일을 맡겨주신 국민을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본분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