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 안배 없는 ‘광주시의회 원 구성’
2024년 07월 09일(화) 20:50 가가
북구 1~3, 의장·상임위원장 독식…북구 4~6, 3명 모두 교육문화위 배정
제9대 광주시의회 후반기 원 구성이 진행 중인 가운데 상임위원회별로 지역구 안배가 고려되지 않아 논란을 빚고 있다.
지방의원들의 ‘숙제’인 지역구 민원 해결을 위해서는 상임위별 의원 안배가 관건인데, 그동안의 관례를 깨고 특정 지역 의원들이 의장과 상임위원장을 독식하거나 한 상임위에 모두 몰려드는 기이한 현상을 보이고 있어서다.
9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전날까지 의장·부의장 선거와 상임위원 선임을 마쳤다.
의장에는 신수정(민주·북구3) 의원이, 제1부의장에는 서용규(민주·비례) 의원이, 제2부의장에는 채은지(민주·비례) 의원이 선출됐다.
앞서 시의원 23명 중 민주당 소속이 21명인 만큼 민주당 광주시당 자체적으로 의장단과 상임위원장단 후보를 결정, 시의회 선거에 출마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11일 치러지는 상임위원장 선거에는 행정자치위원장 안평환(북구1)·환경복지위원장 최지현(광산구1)·산업건설위원장 박필순(광산구3)·교육문화위원장 명진(서구2) 의원이 후보로 등록했다.
민주당 광주시당은 오는 16일 예정된 의회 운영위원장 후보로는 정다은(북구2) 의원을 선출한 상태다. 사실상 모든 상임위원장이 결정된 셈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특정 지역구 편중 현상이 심해 지역 안배 배려가 없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북구갑’으로 분류되는 북구1~3 지역구 의원들이 의장을 비롯한 행자위, 운영위원장 두 자리를 독식할 가능성이 크다.
또 교육문화위원회에는 ‘북구을’ 선거구인 북구4~6 지역구 의원 3명이 모두 배정됐다. 이는 상임위원 선임 과정에 지역별 안배 없이 ‘제비뽑기’를 하는 촌극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인기 상임위인 교문위에 많은 의원들이 희망함에 따라 정치적 고려와 지역별 안배 등을 해야 했음에도 단순하게 ‘제비뽑기’로 상임위원을 선정하면서 북구을 지역의 시의원 3명 모두가 교문위로 배정된 것이다.
지방의원은 국회의원과 달리 지역구 안배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도 나오지만 특정 지역구에 편중되는 현상은 부적절하다는 것이 시의회 안팎의 지적이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국회의원의 경우 상임위에 골고루 배치되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지방의원은 필수적이지 않다”면서도 “지방의원은 자신의 지역구를 중심으로 민원을 해결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만큼 특정 지역구에서 이른바 ‘독식’ 현상을 보이는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지방의원들의 ‘숙제’인 지역구 민원 해결을 위해서는 상임위별 의원 안배가 관건인데, 그동안의 관례를 깨고 특정 지역 의원들이 의장과 상임위원장을 독식하거나 한 상임위에 모두 몰려드는 기이한 현상을 보이고 있어서다.
의장에는 신수정(민주·북구3) 의원이, 제1부의장에는 서용규(민주·비례) 의원이, 제2부의장에는 채은지(민주·비례) 의원이 선출됐다.
앞서 시의원 23명 중 민주당 소속이 21명인 만큼 민주당 광주시당 자체적으로 의장단과 상임위원장단 후보를 결정, 시의회 선거에 출마하도록 했다.
민주당 광주시당은 오는 16일 예정된 의회 운영위원장 후보로는 정다은(북구2) 의원을 선출한 상태다. 사실상 모든 상임위원장이 결정된 셈이다.
‘북구갑’으로 분류되는 북구1~3 지역구 의원들이 의장을 비롯한 행자위, 운영위원장 두 자리를 독식할 가능성이 크다.
또 교육문화위원회에는 ‘북구을’ 선거구인 북구4~6 지역구 의원 3명이 모두 배정됐다. 이는 상임위원 선임 과정에 지역별 안배 없이 ‘제비뽑기’를 하는 촌극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인기 상임위인 교문위에 많은 의원들이 희망함에 따라 정치적 고려와 지역별 안배 등을 해야 했음에도 단순하게 ‘제비뽑기’로 상임위원을 선정하면서 북구을 지역의 시의원 3명 모두가 교문위로 배정된 것이다.
지방의원은 국회의원과 달리 지역구 안배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도 나오지만 특정 지역구에 편중되는 현상은 부적절하다는 것이 시의회 안팎의 지적이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국회의원의 경우 상임위에 골고루 배치되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지방의원은 필수적이지 않다”면서도 “지방의원은 자신의 지역구를 중심으로 민원을 해결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만큼 특정 지역구에서 이른바 ‘독식’ 현상을 보이는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