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신혼부부 느는데 내 집 마련 쉽지 않네
2023년 07월 20일(목) 18:15 가가
호남통계청, 광주 신혼부부 4년간 어떻게 지냈나
맞벌이 비율 55.8%로 10% 늘었지만 주택보유율은 감소
금융권 대출 보유 비중 88.8%…‘자녀 있다’ 61.%로 줄어
맞벌이 비율 55.8%로 10% 늘었지만 주택보유율은 감소
금융권 대출 보유 비중 88.8%…‘자녀 있다’ 61.%로 줄어
지난해 6월 결혼한 직장인 강규형(32)씨는 광주시 북구 임동의 전세 3억원짜리 82㎡(32평) 크기 신축 아파트에 신혼집을 마련했다.
전세자금은 강씨가 직장생활을 하며 모은 목돈과 양가 부모님의 지원을 받아 마련한 돈에다가 은행에서 1억3000만원을 대출받아 마련했다.
원금 1억 3000만원짜리에 금리가 6%대로 매달 이자는 60만원에 달한다. 강씨는 “현재 살고 있는 집은 매매가는 4억 중반이다”며 “아내와 열심히 돈을 벌고 있지만 ‘내 집 마련’이 언제 가능할지 가늠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광주지역 맞벌이 신혼부부는 증가했지만, 정작 ‘내 집’을 가진 신혼부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에서 돈을 빌린 신혼부부는 4년 전보다 6% 정도 늘어 무려 90%에 육박했으며, 대출 잔액도 5500만원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호남·제주지역 신혼부부 어떻게 살고 있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광주지역 초혼 신혼부부(결혼 5년 이내) 중 맞벌이 부부는 55.8%로 집계됐다. 이는 4년 전인 2017년(46%) 보다 9.7%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광주는 맞벌이 신혼부부 비율이 전국 평균(54.9%)에 비해 높았다. 전남지역은 50.6%로 4년 전(39.6%)보다 11%포인트나 증가해 신혼부부 절반 이상이 맞벌이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과거에 비해 가구별 소득도 증가했으나, 정작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는 줄었다.
광주에서 주택을 소유한 초혼 신혼부부는 51.5%로 4년 전 52.3%보다 0.8포인트 감소했다. 전국적으로도 4년 새 43.6%에서 42%로 줄어들었다.
주목해야 할 점은 내 집을 가진 신혼부부는 줄었음에도, 금융권 대출을 받은 신혼부부와 이들의 대출잔액은 증가했다는 것이다.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신혼부부가 많고, 집값 상승에 따라 전세값 역시 뛰어 대출을 받는 사례가 증가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대출은 보유한 광주지역 신혼부부는 88.8%로 4년 전보다 4.9%포인트 늘었고, 전남도 86.3%로 5.4%포인트 증가했다. 광주는 전국 평균(88.4%)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 지난 2017년 79676만원이었던 광주 신혼부부의 대출잔액은 2021년 1억3505만원으로 69.5%(5538만원) 많아졌다. 전남은 무려 89.1%(6000만원→1억1346만원) 증가했는데, 전국 평균 증감율 67%보다 높았다.
이 같은 증가는 고물가와 경기침체가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이를 가진 신혼부부의 감소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주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있는 비중은 61.5%(1만4714쌍)로 2017년 67.9%(2만695쌍)보다 6.4% 감소했고 전남은 63.3%로 6.3%포인트 줄었다.
평균 출생아는 광주가 0.88명에서 0.77명으로, 전남은 0.90명에서 0.75명으로 감소했다. 광주 신혼부부도 2017년 3만7534쌍에서 2021년 2만9596쌍으로 21% 감소했다. 전남은 4만699쌍에서 3만1158쌍으로 줄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전세자금은 강씨가 직장생활을 하며 모은 목돈과 양가 부모님의 지원을 받아 마련한 돈에다가 은행에서 1억3000만원을 대출받아 마련했다.
광주지역 맞벌이 신혼부부는 증가했지만, 정작 ‘내 집’을 가진 신혼부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에서 돈을 빌린 신혼부부는 4년 전보다 6% 정도 늘어 무려 90%에 육박했으며, 대출 잔액도 5500만원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과거에 비해 가구별 소득도 증가했으나, 정작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는 줄었다.
광주에서 주택을 소유한 초혼 신혼부부는 51.5%로 4년 전 52.3%보다 0.8포인트 감소했다. 전국적으로도 4년 새 43.6%에서 42%로 줄어들었다.
주목해야 할 점은 내 집을 가진 신혼부부는 줄었음에도, 금융권 대출을 받은 신혼부부와 이들의 대출잔액은 증가했다는 것이다.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신혼부부가 많고, 집값 상승에 따라 전세값 역시 뛰어 대출을 받는 사례가 증가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대출은 보유한 광주지역 신혼부부는 88.8%로 4년 전보다 4.9%포인트 늘었고, 전남도 86.3%로 5.4%포인트 증가했다. 광주는 전국 평균(88.4%)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 지난 2017년 79676만원이었던 광주 신혼부부의 대출잔액은 2021년 1억3505만원으로 69.5%(5538만원) 많아졌다. 전남은 무려 89.1%(6000만원→1억1346만원) 증가했는데, 전국 평균 증감율 67%보다 높았다.
이 같은 증가는 고물가와 경기침체가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이를 가진 신혼부부의 감소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주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있는 비중은 61.5%(1만4714쌍)로 2017년 67.9%(2만695쌍)보다 6.4% 감소했고 전남은 63.3%로 6.3%포인트 줄었다.
평균 출생아는 광주가 0.88명에서 0.77명으로, 전남은 0.90명에서 0.75명으로 감소했다. 광주 신혼부부도 2017년 3만7534쌍에서 2021년 2만9596쌍으로 21% 감소했다. 전남은 4만699쌍에서 3만1158쌍으로 줄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