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하 AI산업융합사업단장, AI 대화형 챗봇 ‘챗 GPT’ 작성 취임사 눈길
2023년 03월 09일(목) 14:30
인공지능사업 직무 계획 및 사업단 운영 방향 설명
“세계가 주목하는 AI산업융합밸리 조성” 포부 밝혀

김준하 신임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이 9일 취임식에서 인공지능산업 직무 계획을 및 직무 비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제공>

“세계가 주목하는 AI산업융합밸리를 조성하겠습니다”

김준하 신임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이 오픈 AI 대화형 챗봇 ‘챗 GPT’를 활용한 취임사를 발표해 화제가 되고 있다.

김 단장은 9일 최근 세계 최대 화두로 떠오른 오픈 AI 대화형 챗봇 ‘챗 GPT’와의 대화를 통해 작성한 취임사를 발표하고. AI사업단 직무 계획·운영 방향 등을 설명하는 취임식을 가졌다.

김 단장은 ‘챗 GPT’로 작성한 취임사에서 “국가 AI 데이터센터와 AI 산업융합 실증 센터 운영 등을 통해 국가 인공지능 산업 발전의 속도를 높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단장은 ‘챗 GPT’ 신드롬 관련 최근 국내외 동향과 함께 인공지능산업 직무 계획 및 사업단 운영 방향에 대해 발표하며 전문 인재 양성 등 나아가야 할 방향도 제시했다.

그는 “광주에 인공지능 산업융합 생태계를 확산시켜 세계가 주목하는 ‘AI-밸리’를 조성하겠다”며 “AI 스타트업의 국내외 시장 진출을 촉진해 관련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AI 인한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AI 전문 인재를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단장은 또 “사업단 법인 전환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부서별, 직급별 다양한 소통 채널을 통해 끊임없이 소통하며 삶이 행복한 일터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단장은 재단법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의 서류, 면접심사를 거쳐 지난 6일 최종 선임됐다. 임기는 2024년 12월 31일까지다.

김 단장은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 어바인교 대학원 공학석·박사를 취득했다. 이후 20여 년간 지스트에서 화학·환경공학 영역 AI 및 알고리즘 개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국제저널 87편, 국내·외 저서 4권, 지적재산권 22건, 수행과제 320억 규모의 연구를 진행했다.

또 과학기술정통부 한국연구재단 도시환경전문센터장을 맡아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연구·산업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과 국토해양부 해수담수화플랜트사업단장으로 지능형 공정 최적화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도 했다.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 시절 씽크탱크인 더큐브정책연구소장과 광주시장직 인수위원장을 맡아 민선 8기 시정의 밑그림을 그리기도 했던 김 단장은 현재 대통령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 위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