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안전 외면 ‘실적 중시’ 사고 불렀다
2019년 08월 13일(화) 04:50
지난 5월 열출력 급증으로 수동 정지한 한빛원전 1호기 사고의 근본 원인으로, 안전보다 가동 실적을 중시한 원전 측의 안전 불감증이 꼽혔다. 무자격자의 제어봉 조작과 법령 위반에 더해 폐쇄적인 조직 문화가 부른 인재(人災)였다는 것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엊그제 한빛 1호기 사고는 원자로 운전자의 조작 미숙과 절차서 및 법령 위반 등 인적 오류에 의한 것이라고 최종 발표했다. 특별 조사 결과 이번 사고는 당시 제어실 근무자들이 원자로 출력 계산을 잘못했고, 제어봉 조작은 원자력안전법을 어긴 채 무자격자가 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제한치를 초과하면 즉시 원전 가동을 멈춰야 하지만,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원안위에 열출력 급증 사실을 알리지도 않았다.

원안위는 이번 사고의 근본 원인으로 원전 주제어실의 폐쇄성, 발전소 운전원에 대한 교육 부실, 안전 의식이 결여된 조직 문화, 원안위 현장 대응 능력 부족 등을 지목했다.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정비 기간 연장 등으로 발전량이 감소하면 감점을 부여하는 한수원의 발전소 평가 지표다. 안전을 생명으로 여겨야 할 직원들이 평가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공정(工程)을 더 우선했다는 게 원안위의 진단이다.

원안위와 한수원은 재발을 막기 위해 올해 한빛 1호기를 시작으로 전국 원전 주제어실에 CCTV를 설치하고 열출력이 5%를 초과하면 자동 정지하도록 개선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만으로 한빛원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최근 한빛원전에서는 부실시공은 물론 크고 작은 사고가 빈발해 지역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이를 불식하려면 직원들이 원전 가동보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문화를 정착시키고 원안위가 독점하는 안전 규제 감시에 지자체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지역의 신뢰를 얻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