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인가족 김장비용 33만8000원…전통시장이 더 ‘저렴’
2025년 11월 16일(일) 17:00 가가
한국물가정보 발표
대형마트 40만 4280원
대형마트 40만 4280원


농협전남본부는 14일 해남 화원농협 김치체험학습장에서 아동복지시설 영애원 원생·자원봉사자 등이 참여한 가운데 김치의 날(11월 22일)을 앞두고 농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어린이 김장 담그기 체험교실’을 진행했다.<농협전남본부 제공>
올해 김장철을 맞아 전통시장에서 김장 재료를 구매했을 때 4인 가족 기준 33만 8000원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배춧값은 출하 지연 등으로 올랐으나, 그 외 무·대파·천일염 등의 가격이 하락했다. 추후 출하가 지연됐던 배추가 시장에 풀리고, 정부 지원 할인 등으로 배추 가격이 안정되면 김장비용은 더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한국물가정보가 발표한 ‘2025년 김장 물가’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전통시장에서 김장재료(4인 기준)를 구매하면 33만 8500원, 대형마트는 40만 4280원으로 전년 대비 2.1%, 1.2%씩 증가했다.
전통시장에서는 배추(20포기) 가격이 12만원으로 전년(10만원)보다 20% 상승했다. 이어 총각무(3단) 11.1%, 쪽파(2단) 20%, 생강(800g) 14.3%, 멸치액젓(1㎏) 8.3% 등도 가격이 올랐다.
반면 올해 작황이 좋은 무(10개)는 지난해 3만원에서 올해 2만원으로 33.3% 내렸다. 이 밖에 대파(2단) 16.7%, 천일염(5㎏) 40%, 새우젓(1㎏) 25.0%의 가격이 하락했다.
한국물가정보는 “현재 김장용 배추 가격이 강세지만, 무·소금 등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반적인 김장비용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 재배면적이 확대되면서 가을배추 생산량이 전년보다 3.2% 늘어난 120만t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추석연휴부터 잇따른 강우로 병해가 확산되면서 출하가 지연되기도 했지만, 배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은 시간이 지날수록 안정될 예정이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팀장은 “김장용 배추 품질 개선 및 가격 안정세와 더불어 김장에 적합한 온도가 되는 12월 초께 김장하시길 권장드린다”고 말했다.
김장 적정 시기는 일 평균 기온이 4도 이하, 일 최저기온은 0도 이하로 유지될 때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 11월은 평년 대비 높은 기온을, 12·1월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한국물가정보는 남부지방(전라·경상)은 12월 초~중순, 중부지방(서울·경기·충청)은 11월 하순~12월 초, 남해안 지역은 12월 중순 이후가 김장 최적기가 될 것으로 조언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전통시장에서는 배추(20포기) 가격이 12만원으로 전년(10만원)보다 20% 상승했다. 이어 총각무(3단) 11.1%, 쪽파(2단) 20%, 생강(800g) 14.3%, 멸치액젓(1㎏) 8.3% 등도 가격이 올랐다.
한국물가정보는 “현재 김장용 배추 가격이 강세지만, 무·소금 등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반적인 김장비용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추석연휴부터 잇따른 강우로 병해가 확산되면서 출하가 지연되기도 했지만, 배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은 시간이 지날수록 안정될 예정이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팀장은 “김장용 배추 품질 개선 및 가격 안정세와 더불어 김장에 적합한 온도가 되는 12월 초께 김장하시길 권장드린다”고 말했다.
김장 적정 시기는 일 평균 기온이 4도 이하, 일 최저기온은 0도 이하로 유지될 때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 11월은 평년 대비 높은 기온을, 12·1월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한국물가정보는 남부지방(전라·경상)은 12월 초~중순, 중부지방(서울·경기·충청)은 11월 하순~12월 초, 남해안 지역은 12월 중순 이후가 김장 최적기가 될 것으로 조언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