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부터 생계까지…남구, 폐지 수집 어르신 밀착지원
2025년 04월 09일(수) 19:35
5월 16일까지 실태조사…실질적 복지 연계 정책설계 병행
일자리 사업 참여 의향·생계·장애·복지서비스 필요 여부 등
광주 남구가 폭염과 건강 악화 우려 속에 폐지를 줍는 어르신들의 생활 안정과 생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남구는 5월 16일까지 지역 내 폐지 수집 어르신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 중이다.

올해 조사는 지난달 17일부터 시작됐으며 조사 항목은 단순히 생계 여부뿐 아니라 장애 유무,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 의향, 복지서비스 필요 여부 등 세부 내용을 포함한다.

또 평소 사용하는 수거 장비 현황, 혹서기·혹한기 선호 물품 등도 파악해 생활 안전과 직결되는 지원 방향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조사 방식은 주거지 방문 대신 고물상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는 폐지를 줍는 어르신들의 활동 시간이 이른 새벽부터 시작되는 데다, 일과 중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가정 방문 상담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남구는 각 지역 고물상을 수시로 방문해 현장에서 마주치는 어르신들과 직접 접촉하며 실태조사 참여를 독려 중이다.

남구는 단순 통계 수집을 넘어 실질적인 복지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해 이달부터 실태조사와 정책 설계를 병행한다.

실태조사 결과는 어르신들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보장하고 현장의 수요에 맞는 복지 정책을 설계하기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여름철 무더위 속 폐지 수집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일자리 정책인 ‘자원 재생 활동단’을 운영할 방침이다.

자원 재생 활동단은 8월 한 달간 운영된다. 무더위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시기인 만큼, 폭염에 직접 노출되는 폐지 수집 대신 공공기관 등에서 재활용품 정리나 환경 정화 활동처럼 비교적 위험도가 낮은 업무로 구성된다. 근무 시간은 월 8회(총 16시간)이며, 참여 어르신에게는 20만 원의 활동수당이 지급된다. 참여자 모집은 7월 중 시작될 예정이다.

한편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2~5월 폐지수집노인을 전수조사한 결과 광주에서 활동 중인 폐지 수거 노인은 616명이다.

광주시 또한 폐지수집 노인을 보호하기 위해 매년 약 2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안전조끼 2735벌, 안전장갑 9655켤레, 손수레용 삼각대 1800개 등을 제공해 왔다. 각 자치구에서도 자체적으로 안전띠 350여개, 자전거 후미등 100여개, 경광봉 44개 등 보조장비를 추가로 배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폐지 수집 어르신들이 동 행정복지센터나 고물상을 통해서만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지원 사업에 대한 접근성이 낮고, 당사자들이 정보에 노출되지 못한 채 복지 혜택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는 등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남구 관계자는 “폐지 수집 어르신 다수가 생계 문제와 건강 위험에 동시에 노출돼 있어 실태조사와 맞춤형 일자리 연계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현장 중심 정책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어르신들의 안전한 여름나기를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