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나간 광주·전남 지자체 5·18 폄훼 매체에 광고
2025년 03월 17일(월) 21:10 가가
민주당 한민수 의원 제공 자료
교육 기관 등 ‘스카이데일리’에
수백~수천만원씩 광고비 제공
장흥군·장흥군의회 총 1627만원
교육 기관 등 ‘스카이데일리’에
수백~수천만원씩 광고비 제공
장흥군·장흥군의회 총 1627만원
광주·전남 지역 지자체와 교육 기관, 공기업 등이 5·18민주화운동 왜곡·폄훼를 자행한 매체에 지속적으로 광고비를 집행해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매체가 과거 5·18 왜곡·폄훼로 수차례 고발까지 당한 적 있는 터라 그동안 지자체들이 ‘5·18 정신 계승’을 내세웠던 의미가 퇴색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더불어민주당 한민수(서울 강북구 을) 의원실이 제공한 ‘스카이데일리 정부광고 집행 내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14개월동안 광주·전남 지역 13개 관공서가 ‘스카이데일리’에 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언론사는 과거 수차례 ‘5·18은 DJ세력·北이 주도한 내란’이라는 제목의 5·18 왜곡·폄훼 글을 인터넷에 게시하고 신문 형태의 인쇄물을 제작하고 퍼뜨려 5·18기념재단에 5·18왜곡방지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한 매체다.
이 매체에 장흥군은 1407만원, 장흥군의회는 220만원 등 총 1627만원의 광고비를 제공했다. 광주·전남을 통틀어 가장 많은 금액이다.
나주시 ·나주시의회는 715만원, 보성군은 440만원, 담양·진도군은 각각 385만원의 광고비를 집행했다. 완도·신안·구례군청, 한국농어촌공사 전남본부 등도 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에서는 서구가 220만원 광고비를 집행<3월 17일자 광주일보 6면>했을뿐 아니라, 광주시교육청도 100만원을 집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각 관공서에서는 저마다 “어떤 매체인지 모르고 광고비를 집행했다”는 해명을 내놓고 있다.
장흥군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출입해 오던 매체라 매체 성향을 모르고 일괄적으로 광고비를 집행했다”며 “300여개 매체 중에서 일일이 문제 있는 매체를 골라내기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광주시교육청 또한 “지난해부터 5·18 관련 문제를 일으켰다는 사실을 미처 확인하지 못했고, 과거부터 광고비 요청 접촉이 왔던 매체라 최소한의 금액으로 광고비를 줬다”며 “올 초 상황을 뒤늦게 파악해서 광고비 집행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5·18기념재단은 18일 광고비를 집행한 전국 200여개 관공서에 ‘광주에 사과할 것’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원순석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지금까지 ‘지자체와 공기업 등이 5·18 정신 계승’을 내세우더니 실제 행동은 관행을 핑계로 5·18 왜곡·폄훼를 키워주고 있었던 꼴이다. 정작 관공서 담당자들은 ‘몰랐다’, ‘일률 집행했다’는 무책임한 변명만 내놓고 있다”며 “5·18 관계자를 대표해 각 관공서로부터 사과 공문을 받고 확실한 재발방지 대책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해당 매체가 과거 5·18 왜곡·폄훼로 수차례 고발까지 당한 적 있는 터라 그동안 지자체들이 ‘5·18 정신 계승’을 내세웠던 의미가 퇴색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당 언론사는 과거 수차례 ‘5·18은 DJ세력·北이 주도한 내란’이라는 제목의 5·18 왜곡·폄훼 글을 인터넷에 게시하고 신문 형태의 인쇄물을 제작하고 퍼뜨려 5·18기념재단에 5·18왜곡방지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한 매체다.
나주시 ·나주시의회는 715만원, 보성군은 440만원, 담양·진도군은 각각 385만원의 광고비를 집행했다. 완도·신안·구례군청, 한국농어촌공사 전남본부 등도 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관공서에서는 저마다 “어떤 매체인지 모르고 광고비를 집행했다”는 해명을 내놓고 있다.
장흥군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출입해 오던 매체라 매체 성향을 모르고 일괄적으로 광고비를 집행했다”며 “300여개 매체 중에서 일일이 문제 있는 매체를 골라내기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광주시교육청 또한 “지난해부터 5·18 관련 문제를 일으켰다는 사실을 미처 확인하지 못했고, 과거부터 광고비 요청 접촉이 왔던 매체라 최소한의 금액으로 광고비를 줬다”며 “올 초 상황을 뒤늦게 파악해서 광고비 집행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5·18기념재단은 18일 광고비를 집행한 전국 200여개 관공서에 ‘광주에 사과할 것’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원순석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지금까지 ‘지자체와 공기업 등이 5·18 정신 계승’을 내세우더니 실제 행동은 관행을 핑계로 5·18 왜곡·폄훼를 키워주고 있었던 꼴이다. 정작 관공서 담당자들은 ‘몰랐다’, ‘일률 집행했다’는 무책임한 변명만 내놓고 있다”며 “5·18 관계자를 대표해 각 관공서로부터 사과 공문을 받고 확실한 재발방지 대책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