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에 살며 농촌·해양·자연 자원과 맛·멋 경험할 기회
2025년 02월 17일(월) 20:40
18개 시·군 31개 마을 ‘전남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해남 백포마을 공재 윤두서 고택 거닐고 영광 초록이마을 천연염색도
장성 별내리서 수제맥주 만들고 신안 임자만났네에서 카약·통발 체험

폐교를 활용한 영광 초록이마을 내 ‘전남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참여자들 숙소. 천연염색, 석창포 샴푸 제조 체험을 하거나 모싯잎송편, 강정, 유자청 제조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전남도 제공>

전남 18개 시·군 31개 마을이 진행하는 ‘전남에서 살아보기’라는 프로그램은 귀농·귀촌을 고민하는 도시민들이 직접 2~3개월 전남 마을에 머무르면서 농촌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해 성공적으로 정착하도록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온갖 노력에도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절박한 현실을 감안하면, 짧은 기간이나마 머물며 살아보면서 전남의 매력을 접하는 게 관광 활성화 뿐 아니라 지역에 정착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남에서 살아보기’ 사업을 운영하는 18개 시·군 31개 마을이 천편일률적인 농촌 풍경이 아니라, 전남 만의 독특한 농촌·해양·자연 자원과 맛·멋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공을 쏟는 이유다.

해남 백포마을은 귀촌형 프로그램으로 체험객들을 맞고 있다. 조선의 대표적인 문인화가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 선생의 고택이 있는 마을이라는 배경을 활용, 고택을 둘러보며 체험할 수 있는 기회 뿐 아니라 그림같은 숲 속 펜션에 머무르며 농작업, 마을 관광상품 개발에도 참여할 수 있다.

영광 초록이마을은 폐교를 활용한 숙소에서 생활하며 천연염색, 석창포 샴푸 제조 체험을 하거나 모싯잎송편, 강정, 유자청 제조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장성 별내리마을은 수제맥주, 천문체험, 숲체험, 도예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해놓고 있으며 오디·감 재배·가공 유통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내장산국립공원 백암산 자락 남창계곡에 위치한 마을로 산림청에서 조성한 산촌생태마을이다. 마을에서 운영하는 펜션 ‘별내리마을’ 옥상에 천문 돔과 천체망원경 3대를 갖추고 있다. 주간 태양 관측, 야간 행성 관측과 별자리 관찰 등을 할 수 있다.

장성 경이궁 힐링스테이는 한옥 숙소에 머무르는 게 특징이다. 콩재배·두부 만들기 체험도 가능하다.

곡성 가정농촌체험휴양마을과 완도 울모래마을은 귀농을 염두에 둔 도시민들을 위한 체험 마을이다. 곡성에서는 농업인 선배와 1대 1 멘토 멘티제를 통해 고사리·복숭아·단감·대봉감 재배 등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완도 울모래마을에서는 마을 주민들에게 비파·유자 재배와 자닮오이, 자닮유황 등 친환경재배에 필요한 기술을 귀뜸받을 수 있다.

신안 임자만났네 마을은 대파 수확, 벼농사와 무인도 체험 뿐 아니라 카약·통발·염전 체험 등 지역의 독특한 자연 자원을 활용한 농어촌 체험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점이 매력적이다.

진도 길은푸르미 마을에서는 감자·옥수수·콩 등 개인적 텃밭 운영 기회를 제공하고 국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체험도 할 수 있다.

강진 금강까치내 마을은 사계절 농사체험으로 벼수확·탈곡 체험, 곶감만들기 체험을 제공하고 고흥 상하촌마을은 유자·석류·양파·마늘 재배에 어패류 채취, 낚시 체험을 동시에 제공한다.

보성 한국천연염색숨 마을도 전통 한옥에 머무르면서 천연염색 체험과 된장·장아찌 만들기 체험을 할 수 있다.

갓김치·고들빼기 등 지역 특화작물 재배 체험도 가능하다. 여수 갓고을마을은 돌산갓재배와 비닐하우스 관리, 농기계 다루는 법을 알려주고 순천향 매실마을은 매실·복숭아·감 재배 등을 체험할 수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참가자가 농촌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고 귀농귀촌에 대한 알짜배기 정보를 습득하도록 마을마다 꼼꼼히 준비하고 있다”면서 “전남이 보유한 독특한 자연 관광 자원을 제대로 알려 체류 인구를 유치하고 관광 활성화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