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 ‘탈 전남’ 심각…전남 10가구 중 1가구 ‘노인 부부’
2025년 01월 06일(월) 16:00 가가
2024 전남 사회지표 살펴보니
전남지역 전체 인구는 줄었는데 외국인 인구는 전년보다 무려 20% 이상 늘었다. 1인 가구가 10명 중 셋인데, 이들 중 절반 이상은 1인 여성 가구였다. 10가구 중 5가구의 월 평균 가구소득이 300만원 이상인데,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3명(30.7%)의 월 평균 가구소득은 50만~100만원에 불과했다. 청년(18~45세) 10명 중 4명은 취업 상담·알선, 주거비 등을 지원해주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류품비는 전남지역민이 뽑은 가장 부담되는 생활비였다.
전남도가 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 전남 사회지표’를 공개했다.
사회지표는 도민 의식 구조와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각종 시책 수립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전남도는 지난해 8월 30일부터 13일 간 가구·가족, 소득·소비, 노동, 교육, 보건·의료, 주거·교통, 환경, 사회·복지, 여가·문화, 안전, 공동체·사회참여 등 12개 분야를 대상으로 22개 시·군 1만 9116개 가구를 표본조사했다.
◇인구는 줄어도 외국인·65세 이상 인구는 늘어=2024 전남 사회지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47만 874명. 전년 대비 2.9%(1만 3393명) 늘었는데, 전남 전체 인구(180만 4217명)의 26.1%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지표를 확대하면 65세 이상 인구는 48만 6492명으로 더 늘어나는 추세다.
고령화가 심해지면서 생산가능인구도 감소세다.
전남의 생산가능인구는 젊은 층(25~49세)의 ‘탈(脫) 전남’ 영향으로 114만 6000명에 머물렀다. 전년에 견줘 1.5% 줄었다.
반면, ‘14세 이하’ 인구(18만 7326명)는 전년 대비 4.3%(8439명), ‘15~64세’ 인구(114만 6017명)는 전년 대비 1.6%(1만 8434명) 각각 감소했다.
외국인 증가세는 눈에 띄는 대목이다. 전남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4만 9110명. 전년보다 26.0%(1만 122명)나 늘었다. 국적별로는 베트남(1만 5056명)이 30.7%로 가장 많았고 인도네시아(4461명·9.1%), 중국(3825명· 7.8%) 등의 순이었다. 결혼한 뒤 전남으로 온 ‘결혼이민자 수’(6777명)도 전년보다 2.5% 늘었는데, 10명 중 9명(91.6%)는 여성이었다. 시·군 별로 결혼이민자는 여수시, 영암군이 많았다.
◇30~34세 산모의 출산율 가장 높고=저출산으로 전남 출생아 수는 2019년(1만 832명)부터 꾸준한 감소세다. 2023년 출생아도 7828명에 그쳐 전년(7888명)보다 0.8% 줄었다.
그나마 전남의 합계출산율(2023년 기준)은 가임여성 1명당 0.972명으로 전년(0.969명)보다 0.003명 늘었고 ‘30~34세’ 산모가 출산한 신생아 수가 3517명으로 전년 대비 181명 증가하는 등 가장 높은 출산율을 보였다.
시·군별로는 나주(1.086명), 영광(1.651명)의 합계출산율이 높았다.
도민들이 꼽은 저출산 원인으로는 ‘자녀 양육비 부담’(27.6%), ‘비혼 증가 및 늦은 결혼’(23.4%), ‘일·가정 양립의어려움’(14.7%) 등이었고 저출산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청년층 대상 주택 마련 비용 지원’, ‘결혼지원금 지급 확대로 결혼 장려’ 등을 들었다.
◇10가구 중 1가구는 노인 부부=전남 일반 가구(79만 3249가구) 중 가구원 수가 1명인 ‘1인 가구’ 비율은 37.1%로 가장 높았다.
또 전남의 노인부부 가구(9만 4268가구)는 일반가구의 11.9%로, ‘65~69세’(30.7%), ‘70~74세’(26.3%), ‘75~79세’(20.8%) 순이었다. 노인부부 가구는 시·군별로 여수(11.5%), 고흥(18.8%)이 많았다.
특히 홀로 사는 독거노인 가구도 12만 3303가구(15.5%)에 달해 고령화에 맞춰 종합적 복지 정책을 마련,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령별로는 ‘65~69세’(22.6%), ‘80~84세’(21.2%), ‘70~74세’(19.4%) 순으로 높았다. 시·군별로 독거노인 가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나주(14.2%), 고흥(27.1%)이었다.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도 2021년(327곳)부터 꾸준히 늘어 2023년 기준 351개로 늘었고 입소자도 9306명으로 2021년(9001명)보다 증가했다.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3명(30.7%)의 월 평균 가구소득은 50만~100만원에 불과했다. 65세 이상 월평균 소비도 50만~100만원(38.4%)이 가장 높았다. 경제적 취약성이 크다는 얘기다.
◇동부권에 고소득 가구 많아=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가구 비율은 54.2%로 전년보다 10.2%포인트 늘었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가구 비율(25.5%)도 전년 대비 7.9%포인트 증가했다. 월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가구는 동부권이 32.4%로 광주근교권(19.0%), 서남권(22.6%), 중남부권(15.1%)보다 높았다. 가구당 부채는 2023년 평균 5146만 원으로, 2020년(4545만 원)보다 13.2%(601만원) 증가했다.
청년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가 부족한 데 따른 청년 인구 유출과 관련,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해야 하는 정책으로는 ‘취업 상담·알선’(25.8%), ‘주거비 지원’(19.5%), ‘청년 구직 활동 수당 지원’ (11.8%) 등이 꼽혔다.
특히 15~29세와 30~39세 청년들이 가장 원하는 지원 정책은 ‘주거비 지원’(21.4%, 23.3%), ‘취업 상담·알선’(19.8%, 21.7%) 등이었다.
도민 10명 중 7명(72.2%)는 자신의 삶에 대해 ‘대체로 만족’(6점 이상)한다고 했고 도민 2명 중 1명(39.2%)은 전남인으로 소속감 및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사회지표는 도민 의식 구조와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각종 시책 수립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전남도는 지난해 8월 30일부터 13일 간 가구·가족, 소득·소비, 노동, 교육, 보건·의료, 주거·교통, 환경, 사회·복지, 여가·문화, 안전, 공동체·사회참여 등 12개 분야를 대상으로 22개 시·군 1만 9116개 가구를 표본조사했다.
전남의 생산가능인구는 젊은 층(25~49세)의 ‘탈(脫) 전남’ 영향으로 114만 6000명에 머물렀다. 전년에 견줘 1.5% 줄었다.
반면, ‘14세 이하’ 인구(18만 7326명)는 전년 대비 4.3%(8439명), ‘15~64세’ 인구(114만 6017명)는 전년 대비 1.6%(1만 8434명) 각각 감소했다.
외국인 증가세는 눈에 띄는 대목이다. 전남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4만 9110명. 전년보다 26.0%(1만 122명)나 늘었다. 국적별로는 베트남(1만 5056명)이 30.7%로 가장 많았고 인도네시아(4461명·9.1%), 중국(3825명· 7.8%) 등의 순이었다. 결혼한 뒤 전남으로 온 ‘결혼이민자 수’(6777명)도 전년보다 2.5% 늘었는데, 10명 중 9명(91.6%)는 여성이었다. 시·군 별로 결혼이민자는 여수시, 영암군이 많았다.
◇30~34세 산모의 출산율 가장 높고=저출산으로 전남 출생아 수는 2019년(1만 832명)부터 꾸준한 감소세다. 2023년 출생아도 7828명에 그쳐 전년(7888명)보다 0.8% 줄었다.
그나마 전남의 합계출산율(2023년 기준)은 가임여성 1명당 0.972명으로 전년(0.969명)보다 0.003명 늘었고 ‘30~34세’ 산모가 출산한 신생아 수가 3517명으로 전년 대비 181명 증가하는 등 가장 높은 출산율을 보였다.
시·군별로는 나주(1.086명), 영광(1.651명)의 합계출산율이 높았다.
도민들이 꼽은 저출산 원인으로는 ‘자녀 양육비 부담’(27.6%), ‘비혼 증가 및 늦은 결혼’(23.4%), ‘일·가정 양립의어려움’(14.7%) 등이었고 저출산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청년층 대상 주택 마련 비용 지원’, ‘결혼지원금 지급 확대로 결혼 장려’ 등을 들었다.
◇10가구 중 1가구는 노인 부부=전남 일반 가구(79만 3249가구) 중 가구원 수가 1명인 ‘1인 가구’ 비율은 37.1%로 가장 높았다.
또 전남의 노인부부 가구(9만 4268가구)는 일반가구의 11.9%로, ‘65~69세’(30.7%), ‘70~74세’(26.3%), ‘75~79세’(20.8%) 순이었다. 노인부부 가구는 시·군별로 여수(11.5%), 고흥(18.8%)이 많았다.
특히 홀로 사는 독거노인 가구도 12만 3303가구(15.5%)에 달해 고령화에 맞춰 종합적 복지 정책을 마련,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령별로는 ‘65~69세’(22.6%), ‘80~84세’(21.2%), ‘70~74세’(19.4%) 순으로 높았다. 시·군별로 독거노인 가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나주(14.2%), 고흥(27.1%)이었다.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도 2021년(327곳)부터 꾸준히 늘어 2023년 기준 351개로 늘었고 입소자도 9306명으로 2021년(9001명)보다 증가했다.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3명(30.7%)의 월 평균 가구소득은 50만~100만원에 불과했다. 65세 이상 월평균 소비도 50만~100만원(38.4%)이 가장 높았다. 경제적 취약성이 크다는 얘기다.
◇동부권에 고소득 가구 많아=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가구 비율은 54.2%로 전년보다 10.2%포인트 늘었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가구 비율(25.5%)도 전년 대비 7.9%포인트 증가했다. 월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가구는 동부권이 32.4%로 광주근교권(19.0%), 서남권(22.6%), 중남부권(15.1%)보다 높았다. 가구당 부채는 2023년 평균 5146만 원으로, 2020년(4545만 원)보다 13.2%(601만원) 증가했다.
청년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가 부족한 데 따른 청년 인구 유출과 관련,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해야 하는 정책으로는 ‘취업 상담·알선’(25.8%), ‘주거비 지원’(19.5%), ‘청년 구직 활동 수당 지원’ (11.8%) 등이 꼽혔다.
특히 15~29세와 30~39세 청년들이 가장 원하는 지원 정책은 ‘주거비 지원’(21.4%, 23.3%), ‘취업 상담·알선’(19.8%, 21.7%) 등이었다.
도민 10명 중 7명(72.2%)는 자신의 삶에 대해 ‘대체로 만족’(6점 이상)한다고 했고 도민 2명 중 1명(39.2%)은 전남인으로 소속감 및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