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광주시·전남도, 희생자 연락처 찾아 부고 전한다
2025년 01월 02일(목) 20:00
장례 지원 나섰지만 연락처 담긴 휴대전화 없어 부고 알리지 못해
과기부 협력 백업방안 협의…시, 누리집·뉴스통신사 통해 안내도

2일 오후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 현장에서 합동조사단원들이 기체 내부등을 수색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제주항공 참사 닷새째를 맞아 희생자들의 장례절차가 이어지면서, 광주시와 전남도 공무원들이 장례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희생자들의 지인 연락처 등이 담긴 휴대전화를 찾지 못하거나 훼손이 심각한 사례도 있어 부고 등을 알리는 데 애를 먹고 있다.

2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시·도는 지난 1일부터 희생자들의 장례식장 안치가 시작됨에 따라 장례식장으로 이동해 장례 지원 등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희생자 지인들의 연락처 등이 담긴 휴대전화 등 유류품을 찾지 못해 부고를 알리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와 전남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력해 휴대전화 백업 등 방안을 협의 중이다.

현재 장례식장에 지원나온 26명의 광주시와 자치구 공무원들은 희생자들의 동호회 정보 등까지 수소문하는 방식으로 장례를 돕고 있다.

이날 장례 지원을 나온 한 공무원은 “‘(고인이) 주말 오전마다 운동장에 모여 축구를 했다’는 유족의 이야기를 듣고 지자체에 등록된 동호회 목록을 확인해 동호회장에게 연락했다”고 밝혔다.

이 공무원은 “사고 초기라서 동호회장이 희생자의 사고 소식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며 “가족분께서 (연락처 확보에 대해) 감사하다는 인사를 전해왔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또 유가족이 요청하면 시청 누리집과 뉴스통신사 등을 통해 부고 안내를 돕고 있다.

강기정 시장은 장례식장에서 유족과의 면담 등을 통해 “희생자 휴대전화 연락처 복구에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원 공무원들에게 부고 안내를 긴급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도 이 같은 사례를 전달하고, 휴대전화 백업 등을 긴급 건의했다.

광주시는 이 밖에도 유가족 중 통합돌봄이 필요한 사례를 파악하고 4가구를 대상으로 가사와 식사 직원 등에 나서고 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