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7 단장 “국회의원 150명 넘지 않게 끌어내라 지시 받아”
2024년 12월 09일(월) 21:20 가가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 고백…“부대원 이용당한것 안타까워”
비상계엄 동원 계엄군 잇따른 양심선언에 속속 드러나는 진실
비상계엄 동원 계엄군 잇따른 양심선언에 속속 드러나는 진실


김현태 제707특수임무단장이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제707특수임무단은 지난 3일 밤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 진입을 위해 투입됐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무리한 사전 계획으로 ‘비상계엄 선포’를 밀어붙인 정황들이 군 간부의 양심선언 등으로 속속 드러나고 있다.
지난 5일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과 김선호 국방부 차관이 계엄 선포를 사전에 몰랐거나 반대했다는 입장을 보인 이후 군 간부들의 양심 선언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707특수임무단의 김현태(대령) 단장은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국방부 청사 건너편 전쟁기념관 앞에서 자신의 얼굴과 이름을 공개하고 기자회견을 열어 당시 상황을 고백했다. 규정상 신원 기밀인 김 단장은 마스크나 선글라스를 쓰지 않은 채 이름이 적힌 명찰까지 달고 카메라 앞에 섰다.
그는 “국회의사당과 국회의원회관 등 2개 건물 봉쇄 지시를 받았고, 국회 구조를 몰라 티맵을 켜 확인했다”며 “의사당에 진입한 뒤 안에서 문을 틀어막는 식으로 봉쇄하려고 창문을 깨라는 지시도 했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1∼2분 간격으로 (곽종근 특수전사령관한테서) 전화가 왔고, ‘국회의원이 (의사당 안에) 150명을 넘으면 안 된다고 한다. 끌어낼 수 있겠느냐’는 뉘앙스였다”고 증언했다. 그는 ‘의원 150명 지시’에 대해서는 “사령관이 말했고, 김용현 전 장관이 지시했던 것 같다”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처음부터 ‘북한’이라는 말은 없었다”며 “빨리 가서 국회를 봉쇄하고 확보하라는 것이었다”고 전했다.
실탄 준비에 대해서는 헬기 1대에 탑승하는 8명의 실탄을 통합 보관했으며 분량은 개인별로 5.56㎜ 10발, 9㎜ 10발이었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또 별도로 나무 상자에 공포탄과 연습용 수류탄도 실었다고 증언했다.
김 단장은 “계엄에 대한 지식이 없어 계엄 상황에서 국회 활동이 보장돼야 한다는 것을 몰랐다”며 “저를 제지하는 관계자들에게 ‘계엄사령부 지시를 받고 왔다. 계엄사령부로 항의하라’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몰라서 행동했지만, 모르는 것 또한 제 책임이라 생각하고 부대원들을 내란죄가 될 수 있는 위험에 빠뜨린 것에 사죄한다”며 고개를 숙였다.
김 단장은 “707부대원들은 모두 전 김용현 국방장관에게 이용당한 가장 안타까운 피해자”라면서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 따르더라도 모두 제가 책임지겠다. 민주주의 법치주의 국가의 군인으로서 잘못에 대한 모든 책임을 다하고 스스로 죄를 물어 사랑하는 군을 떠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비상계엄 때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병력 및 요원도 계엄군으로 동원된 정황이 드러났다.
국방부 당국자는 이날 정보사 병력이 비상계엄 선포 당시 경기도 과천시 소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돼 전산실 서버를 촬영했다는 국내 언론의 보도에 대해 “그런 정황이 있다”며 “수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선관위가 공개한 CCTV 영상을 보면 전산실 서버를 촬영한 인원은 대령 계급장을 달고 있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때 국회와 선관위에 투입된 특수전사령부와 수도방위사령부, 국군방첩사령부는 물론 정보사 인원도 계엄 실행을 주도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명령에 따라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12·3 내란사건(비상계엄) 때 기존에 거론된 특전사와 수방사, 방첩사 외 정보사 병력도 투입됐음을 확인했다”며 “철저한 진상규명과 수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제보를 인용해 “정보사 소속 정보요원 7명이 경기도 남부의 모처에 위치한 정보부대에 급히 파견돼 정치인 등을 체포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으며, 위치정보 파악 임무를 수행하려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연합뉴스
지난 5일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과 김선호 국방부 차관이 계엄 선포를 사전에 몰랐거나 반대했다는 입장을 보인 이후 군 간부들의 양심 선언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는 “국회의사당과 국회의원회관 등 2개 건물 봉쇄 지시를 받았고, 국회 구조를 몰라 티맵을 켜 확인했다”며 “의사당에 진입한 뒤 안에서 문을 틀어막는 식으로 봉쇄하려고 창문을 깨라는 지시도 했다”고 말했다.
실탄 준비에 대해서는 헬기 1대에 탑승하는 8명의 실탄을 통합 보관했으며 분량은 개인별로 5.56㎜ 10발, 9㎜ 10발이었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또 별도로 나무 상자에 공포탄과 연습용 수류탄도 실었다고 증언했다.
김 단장은 “계엄에 대한 지식이 없어 계엄 상황에서 국회 활동이 보장돼야 한다는 것을 몰랐다”며 “저를 제지하는 관계자들에게 ‘계엄사령부 지시를 받고 왔다. 계엄사령부로 항의하라’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몰라서 행동했지만, 모르는 것 또한 제 책임이라 생각하고 부대원들을 내란죄가 될 수 있는 위험에 빠뜨린 것에 사죄한다”며 고개를 숙였다.
김 단장은 “707부대원들은 모두 전 김용현 국방장관에게 이용당한 가장 안타까운 피해자”라면서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 따르더라도 모두 제가 책임지겠다. 민주주의 법치주의 국가의 군인으로서 잘못에 대한 모든 책임을 다하고 스스로 죄를 물어 사랑하는 군을 떠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비상계엄 때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병력 및 요원도 계엄군으로 동원된 정황이 드러났다.
국방부 당국자는 이날 정보사 병력이 비상계엄 선포 당시 경기도 과천시 소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돼 전산실 서버를 촬영했다는 국내 언론의 보도에 대해 “그런 정황이 있다”며 “수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선관위가 공개한 CCTV 영상을 보면 전산실 서버를 촬영한 인원은 대령 계급장을 달고 있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때 국회와 선관위에 투입된 특수전사령부와 수도방위사령부, 국군방첩사령부는 물론 정보사 인원도 계엄 실행을 주도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명령에 따라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12·3 내란사건(비상계엄) 때 기존에 거론된 특전사와 수방사, 방첩사 외 정보사 병력도 투입됐음을 확인했다”며 “철저한 진상규명과 수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제보를 인용해 “정보사 소속 정보요원 7명이 경기도 남부의 모처에 위치한 정보부대에 급히 파견돼 정치인 등을 체포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으며, 위치정보 파악 임무를 수행하려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