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 계엄’ 후폭풍 직면한 윤석열 탄핵…대한민국 ‘운명의 날’
2024년 12월 07일(토) 00:00 가가
7일 본회의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실시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200명 찬성해야
범야권 의석 192석…이탈표 8표 나와야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200명 찬성해야
범야권 의석 192석…이탈표 8표 나와야
국회는 7일 본회의를 열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실시한다.
‘비상 계엄’ 선포라는 악수를 둬 ‘탄핵’의 길로 접어든 윤 대통령의 운명이 이날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탄핵안은 국회의원 정수 300명의 3분의 2인 200명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가결된다. 탄핵안은 지난 5일 0시48분께 보고된 만큼 24시간 후인 6일 0시 49분부터 8일 0시 48분까지 표결이 가능하다. 탄핵안은 본회의에 보고된 뒤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표결이 이뤄져야 한다.
탄핵안 가결 요건은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어서 재적 의원 300명을 기준으로 200명이 찬성해야 한다.
범야권 의석이 192석인 것을 고려하면 여당에서 최소 8표의 이탈표가 나와야 가결된다.
민주당 등 야당은 애초 7일 오후 7시께 본회의를 예정했지만, 시간을 앞당겨 본회의가 열릴 수 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7일 밤 현재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탄핵 가결’에 총력전을 펴고 있는 상태다.
반면 국민의힘은 지난 5일 ‘탄핵 부결’을 당론으로 채택했지만, 이날 오전 한동훈 대표가 하루 만에 ‘탄핵 가결’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분위기가 급반전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면서 사실상 탄핵에 찬성을 입장을 밝혔다.
이어 이날 오후 윤석열 대통령을 면담한 뒤에 열린 의원 총회에서도 “윤 대통령을 만났지만 제 판단을 뒤집을만한 말은 듣지 못했다”고 전하고 의원들의 숙의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안철수 의원과 조경태 의원이 탄핵 가결로 입장을 정리하면서 의외의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윤 대통령은 최장 6개월 내에 이뤄져야 하는 헌법재판소의 탄핵안 심리가 완료될 때까지 직무가 정지된다.
탄핵안 표결 결과가 어떤 식으로 나오든 정치권은 한 치 앞을 가늠하기 어려운 혼돈과 격랑 속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특히, 내년 연말이 아닌 4월∼6월의 조기 대통령 선거를 염두에 둔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충돌도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비상 계엄’ 선포라는 악수를 둬 ‘탄핵’의 길로 접어든 윤 대통령의 운명이 이날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탄핵안은 국회의원 정수 300명의 3분의 2인 200명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가결된다. 탄핵안은 지난 5일 0시48분께 보고된 만큼 24시간 후인 6일 0시 49분부터 8일 0시 48분까지 표결이 가능하다. 탄핵안은 본회의에 보고된 뒤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표결이 이뤄져야 한다.
범야권 의석이 192석인 것을 고려하면 여당에서 최소 8표의 이탈표가 나와야 가결된다.
민주당 등 야당은 애초 7일 오후 7시께 본회의를 예정했지만, 시간을 앞당겨 본회의가 열릴 수 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민의힘은 지난 5일 ‘탄핵 부결’을 당론으로 채택했지만, 이날 오전 한동훈 대표가 하루 만에 ‘탄핵 가결’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분위기가 급반전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면서 사실상 탄핵에 찬성을 입장을 밝혔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윤 대통령은 최장 6개월 내에 이뤄져야 하는 헌법재판소의 탄핵안 심리가 완료될 때까지 직무가 정지된다.
탄핵안 표결 결과가 어떤 식으로 나오든 정치권은 한 치 앞을 가늠하기 어려운 혼돈과 격랑 속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특히, 내년 연말이 아닌 4월∼6월의 조기 대통령 선거를 염두에 둔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충돌도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