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교동 DJ 사저, 국가 문화재 지정해야”
2024년 08월 07일(수) 21:05
지역 정치권 입장문…매각 사태·민주당 대응 등 비판
지역 정치권이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서울 마포구 동교동 사저 매각을 백지화하고 국가 지정 문화재로 지정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광주전남김대중재단은 김 전 대통령 사저 매각과 관련한 더불어민주당의 대응에 대해 ‘개탄스럽다’고 표현하며 분노했다.

광주전남김대중재단은 7일 보도자료를 내고 “김 전 대통령 사저를 3남 김홍걸 전 의원이 민간인에게 팔아넘겼다는 사실에 광주·전남 시·도민들은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재단은 “김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가 37년간 머물렀던 동교동 사저는 군사정권 암살위협과 사형선고를 견디며 끝내 지켜낸 한국 민주주의 투쟁의 산실이자 온몸으로 싸워왔던 역사적 장소”라며 “민주주의와 인권, 한반도 평화를 위해 온몸을 다해 헌신한 역사적 유산을 사유화해 상속세 부담을 이유로 개인에게 상업 시설용으로 팔아넘긴 행위는 역사적 과오를 범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동교동 사저 관련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김대중 정부와 함께했던 관련자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나”라며 “상속세가 문제였다면 시민 모금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었음에도 왜 행동하지 않았나”라고 꼬집었다.

재단은 민주당의 소극적인 대응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재단은 “김대중 정신과 업적을 계승하겠다는 민주당 대응은 참으로 개탄스럽다”며 “탄생 100주년이자 서거 15주기를 맞이하는 8월18일에 전당대회를 잡고, 동교동 사저 매각과 관련해서도 어떠한 입장과 후속 조치도 이뤄지지 않고 있어 실망스럽다”고 지적했다.

전남도의회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김 전 대통령 사저를 국가 지정 문화재로 지정할 것을 촉구했다.

도의회는 “대한민국 민주주의 현대사의 상징성과 역사성을 담고 있는 장소인 만큼 개인이 사적으로 소유할 공간이 아니기에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매입해 김대중·이희호 기념관으로 조성 보존함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도의회는 “이승만·박정희·최규하 전 대통령 가옥이 이미 국가 등록 문화재로 지정된 전례를 보아 김 전 대통령 사저가 등록되지 못할 이유는 없다”며 “도민을 대표해 대한민국 민주주의 선구자인 김 전 대통령 사저를 국가 지정 문화유산으로 지정해 문화재로서 관리·보존해 줄 것을 정부에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