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아동 삶의 질 전국 최하위권 … 광주는 4위
2024년 07월 02일(화) 20:50
세이브더칠드런·서울대 연구 결과 발표…인구 유출·저출산 악순환 초래

/클립아트코리아

우리나라 17개 시·도 중 대도시와 인접 도 지역에서 아동 삶의 질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 세종, 대구, 광주, 울산 등 대도시 지역과 경북, 전남, 강원, 전북, 충남 등 중소도시·농어촌 지역 간의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는 전국 시·도 중 4위를 기록한 반면 전남은 14위로 하위권을 기록했다.

낮은 아동 삶의 질은 인구 유출, 저출생 심화 등으로 이어지는 만큼 국가와 사회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국제아동권리 비정부기구(NGO)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는 2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4 한국 아동의 삶의 질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지난해 4∼5월 전국 17개 시·도 초등학교 3·5학년과 중학교 1학년 각 2500명,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건강, 주관적 행복감, 아동의 관계, 물질적 상황, 위험과 안전, 교육환경, 주거환경, 바람직한 인성 등 8개 영역·43개 지표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 결과 아동 삶의 질 지수(CWBI·Child Well-Being IndexI)가 가장 높은 지역은 부산(117.38)이었다. 세종(116.40), 대구(110.92), 광주(109.43), 울산(106.79) 등이 뒤따랐다.

지난해 2위였던 부산은 건강과 아동의 관계, 주거환경 등 3개 영역에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1위에 올랐다.

하지만 지난 1차 연구에서 1위였던 대전은 10위로 하락하고 10위였던 광주는 4위로 상승하는 등 지역 간의 격차가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지리적 위치가 가깝더라도 대도시와 도 지역의 차이가 확대되고 있어 지역별 사회지표나 사회서비스 현황 등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사회서비스 인프라 격차가 아동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충남(82.24)은 가장 낮았고, 전북(85.67), 강원(91.90), 전남(92.23)도 8개 영역 대부분에서 낮은 수치를 보이는 등 도 지역은 대부분 하위권을 기록했다.

연구진은 아동의 낮은 삶의 질이 인구 유출 또는 출생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영향을 미쳐 저출생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선숙 한국교통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저출생 시대, 아동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역 간 편차를 분석하고 지역별 특성과 아동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아동권리 실현을 위한 법률적 근거가 되는 아동기본법을 제정해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성실히 이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도 “저출생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사회복지 패러다임인 포용적 성장이 중요하다”며 “지역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기회의 평등을 높여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고 아동 지원을 늘려 아동 친화적 사회를 만드는 것이 저출생 정책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더불어민주당 강훈식(충남 아산을) 의원실과 함께 3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아동 삶의 질과 지역 격차 대응 방안 심포지엄’을 연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