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복귀 전공의 대책 곧 발표…광주 전공의는 복귀 회의적
2024년 07월 02일(화) 20:40 가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전체 레지던트 사직률 0.49%
전대 285명·조대 113명 사직서
‘복귀 전공의 따돌림’ 중단 요청
전체 레지던트 사직률 0.49%
전대 285명·조대 113명 사직서
‘복귀 전공의 따돌림’ 중단 요청
하반기 전공의 (인턴·레지던트) 모집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정부가 조만간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대응 방안을 확정해 발표한다.
새로운 전공의 모집 전에 기존 전공의 사직 여부를 확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의료현장을 떠난 광주지역 전공의들이 복귀에 회의적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2일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에 따르면 의정갈등이 시작된 지난 2월 전남대병원 본·분원에 근무하는 전공의 319명 중 28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고, 조선대병원에서는 전공의 142명 중 113명이 복귀 명령 불이행 대상자로 최종 확정됐다.
이후 일부 전공의가 복귀했지만, 대부분 전공의들은 복귀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병원측에서는 복귀한 전공의들에게 피해가 발생할 것을 우려해 구체적인 숫자를 밝히기를 꺼리고 있다.
광주 상급병원의 한 전공의는 “광주지역 전공의 대부분이 복귀보다는 사직처리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정부가 빨리 사직을 처리해 주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의 입장과 달리 권병기 보건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이 사직과 관련한 뜻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며 “미복귀 전공의에 대해서는 6월 말 기준 전공의 복귀 현황 등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책을 검토하고 있고, 조만간 그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전체 211곳 수련병원 전공의 출근율은 7.9%(1만3756명 중 1087명)에 그쳤다. 정부가 전공의 사직 확정을 위한 ‘중간 점검’ 시점으로 정한 6월 말(28일 1071명) 대비 16명만 늘었다.
또 1일 기준 전체 수련병원의 레지던트 사직률은 0.49%(1만506명 중 51명)이다. 지난달 28일 대비 사직 레지던트는 4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정부는 전공의 사직서의 수리 시점을 각종 행정명령을 철회한 지난달 4일 이후라고 강조했다.
권 지원관은 “정부의 (병원 대상)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이 철회된 시점이 6월 4일이기 때문에 각종 효력은 그 이후로 발생한다”며 “그 외의 부분은 일반적인 노사 관계나 병원과의 계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공의 복귀를 위한 입장도 밝혔다. 권 지원관은 “정부는 복귀한 전공의가 정상적으로 수련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보호할 것”이라면서 “전공의들이 9월(하반기 모집)에 복귀할 수 있도록 수련 지침을 개정해달라는 요구가 있어서 검토 중이지만 현재 결정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전공의들이 정부를 믿고 조속히 복귀해서 본인의 경력을 이어가는 한편, 현재 진행 중인 의료개혁 논의에 함께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최근 의사 커뮤니티에서 다시 발생한 복귀 전공의 명단 공개는 ‘따돌림’으로 보고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권 지원관은 “병원으로 복귀한 전공의와 전임의에 대한 신상을 공개해 복귀를 방해하는 행위가 또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는 지난 3월에 집단행동을 조장하고 병원 복귀를 방해할 목적으로 복귀자 명단을 공개한 전공의에 대한 수사를 의뢰해 현재 수사가 진행 중으로, 이번 사안에 대해서도 전날 신속히 수사를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새로운 전공의 모집 전에 기존 전공의 사직 여부를 확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의료현장을 떠난 광주지역 전공의들이 복귀에 회의적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후 일부 전공의가 복귀했지만, 대부분 전공의들은 복귀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병원측에서는 복귀한 전공의들에게 피해가 발생할 것을 우려해 구체적인 숫자를 밝히기를 꺼리고 있다.
이들의 입장과 달리 권병기 보건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이 사직과 관련한 뜻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며 “미복귀 전공의에 대해서는 6월 말 기준 전공의 복귀 현황 등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책을 검토하고 있고, 조만간 그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1일 기준 전체 수련병원의 레지던트 사직률은 0.49%(1만506명 중 51명)이다. 지난달 28일 대비 사직 레지던트는 4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정부는 전공의 사직서의 수리 시점을 각종 행정명령을 철회한 지난달 4일 이후라고 강조했다.
권 지원관은 “정부의 (병원 대상)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이 철회된 시점이 6월 4일이기 때문에 각종 효력은 그 이후로 발생한다”며 “그 외의 부분은 일반적인 노사 관계나 병원과의 계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공의 복귀를 위한 입장도 밝혔다. 권 지원관은 “정부는 복귀한 전공의가 정상적으로 수련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보호할 것”이라면서 “전공의들이 9월(하반기 모집)에 복귀할 수 있도록 수련 지침을 개정해달라는 요구가 있어서 검토 중이지만 현재 결정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전공의들이 정부를 믿고 조속히 복귀해서 본인의 경력을 이어가는 한편, 현재 진행 중인 의료개혁 논의에 함께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최근 의사 커뮤니티에서 다시 발생한 복귀 전공의 명단 공개는 ‘따돌림’으로 보고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권 지원관은 “병원으로 복귀한 전공의와 전임의에 대한 신상을 공개해 복귀를 방해하는 행위가 또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는 지난 3월에 집단행동을 조장하고 병원 복귀를 방해할 목적으로 복귀자 명단을 공개한 전공의에 대한 수사를 의뢰해 현재 수사가 진행 중으로, 이번 사안에 대해서도 전날 신속히 수사를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