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박 우편·일방 지명…의장단 선거 앞둔 지역정가 ‘갈등’
2024년 06월 26일(수) 21:05 가가
광주, 북구·광산구의회 ‘선출 지침’ 어기고 합의 추대 적용 등 논란
광주시의회 후보 토론회 이후 ‘합종연횡’ 위한 사퇴 소문 휩싸이기도
광주시의회 후보 토론회 이후 ‘합종연횡’ 위한 사퇴 소문 휩싸이기도
광주·전남 광역·기초의회 의장단 선거를 두고 잇따라 잡음이 일면서 ‘풀뿌리 민주주의’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선을 치르지 않고 특정인을 일방적으로 지명하거나, 후보자에 대한 협박성 우편물이 배달되는 등 곳곳에서 갈등이 일고 있어서다.
여기에 민주당 광주시당이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진행한 광주시의회 의장 후보 TV 토론회도 일부 후보가 토론회 이후 ‘합종연횡’을 위해 사퇴한다는 소문에 휩싸이면서 취지가 퇴색됐다는 지적이다.
특히 광주·전남지역 특성상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이 대다수인데도, 의장 후보 선정 과정에서 당 지침을 어기는 모습을 보이거나 유력한 의장 후보였던 의원이 성추행 파문을 겪는 등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26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2022년 개원한 지역 광역·기초의회들이 후반기 원 구성에 나서고 있다. 광주·전남은 민주당 내 의장 후보 경선이 곧 의장 당선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당내 경선 과정도 과열되고 있다.
광주 북구와 광산구의회는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중앙당의 ‘광역·기초의회 의장단 선출에 관한 지침’을 어기고 의장 후보를 독자적으로 합의 추대하는 등의 구태도 보였다.
북구의회는 ‘후보 선출 방법을 당론으로 결정하고 당론에 따라 당 소속 지방의원들이 민주적으로 선출하도록 한다’는 민주당 지침을 무시하고 북구갑 지역위원회에서 특정후보를 지명하면서 논란을 빚었다. 민주당 중앙당은 해당 지역위원회 사무국장 등을 대상으로 지침 위반 여부 등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산구의회는 전반기 의장 선출 과정에서도 의장 선출 과정에 ‘제비뽑기’를 하는 촌극을 연출한 바 있어 후반기 의장 선출에 관심이 모아졌지만 결국 민주당 의원들의 추대 형식으로 진행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남구의회에서는 성추행 의혹을 받고 있는 A의원이 의장 후보로 나선다고 해 물의를 빚고 있다.
전남에서는 강진군의회에서 의장 선거를 앞두고 특정 의원에게 협박성 우편물이 배달되는 등 논란이 일었다. 해당 우편물에는 강진군의회 한 의원이 여성과 함께 찍은 사진과 업무추진비 내역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강진군의회 의장 선거는 마무리됐지만, 의장 후보였던 해당 의원이 우편물 사건 이후 돌연 부의장 후보로 돌아서면서 잡음은 끊이질 않고 있다.
광역의회에서도 마찰음은 계속됐다.
민주당 소속 광주시의회 의장 후보들은 전국 최초 TV 토론회를 도입하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유권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토론회를 마친 뒤 한 후보가 사퇴해 특정 후보를 지지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이에 민주당 광주시당은 ‘토론회 이후 사퇴 불가’를 후보자에게 통보하기도 했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민주당 강세 지역인 광주·전남은 의장 선거 역시 ‘경선=당선’으로 인식되는 등 심각하게 곪아있다”며 “투표권이 있는 각 광역·기초의원들은 ‘줄 세우기 구태’를 멈추고 전반기 의정활동에 기반해 진정으로 지역 발전을 일굴 ‘일꾼의 장’을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경선을 치르지 않고 특정인을 일방적으로 지명하거나, 후보자에 대한 협박성 우편물이 배달되는 등 곳곳에서 갈등이 일고 있어서다.
특히 광주·전남지역 특성상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이 대다수인데도, 의장 후보 선정 과정에서 당 지침을 어기는 모습을 보이거나 유력한 의장 후보였던 의원이 성추행 파문을 겪는 등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26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2022년 개원한 지역 광역·기초의회들이 후반기 원 구성에 나서고 있다. 광주·전남은 민주당 내 의장 후보 경선이 곧 의장 당선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당내 경선 과정도 과열되고 있다.
광산구의회는 전반기 의장 선출 과정에서도 의장 선출 과정에 ‘제비뽑기’를 하는 촌극을 연출한 바 있어 후반기 의장 선출에 관심이 모아졌지만 결국 민주당 의원들의 추대 형식으로 진행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남구의회에서는 성추행 의혹을 받고 있는 A의원이 의장 후보로 나선다고 해 물의를 빚고 있다.
전남에서는 강진군의회에서 의장 선거를 앞두고 특정 의원에게 협박성 우편물이 배달되는 등 논란이 일었다. 해당 우편물에는 강진군의회 한 의원이 여성과 함께 찍은 사진과 업무추진비 내역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강진군의회 의장 선거는 마무리됐지만, 의장 후보였던 해당 의원이 우편물 사건 이후 돌연 부의장 후보로 돌아서면서 잡음은 끊이질 않고 있다.
광역의회에서도 마찰음은 계속됐다.
민주당 소속 광주시의회 의장 후보들은 전국 최초 TV 토론회를 도입하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유권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토론회를 마친 뒤 한 후보가 사퇴해 특정 후보를 지지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이에 민주당 광주시당은 ‘토론회 이후 사퇴 불가’를 후보자에게 통보하기도 했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민주당 강세 지역인 광주·전남은 의장 선거 역시 ‘경선=당선’으로 인식되는 등 심각하게 곪아있다”며 “투표권이 있는 각 광역·기초의원들은 ‘줄 세우기 구태’를 멈추고 전반기 의정활동에 기반해 진정으로 지역 발전을 일굴 ‘일꾼의 장’을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