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주년 여순사건 정확한 피해자 조사부터
2022년 10월 18일(화) 00:05 가가
여수·순천 10·19사건이 발생한 지 어느덧 74주년. 올해는 특별법 시행과 희생자·유족 첫 인정에 이어 정부가 주최하는 첫 추념식이 열리는 등 명예 회복을 위한 의미 있는 발걸음이 잇따랐다. 하지만 연초부터 시작된 피해자 신고 접수가 더기기만 해 온전한 진상 규명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정부는 내일 오전 10시 광양시민광장 야외공연장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김영록 전남지사, 유족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여수·순천 10·19사건 제74주기 합동 추념식’을 개최한다. 여수·순천 10·19사건은 정부 수립 초기 여수에 주둔하던 국군 제14연대 일부 군인들이 국가의 ‘제주 4.3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일으킨 사건으로 인한 무력 충돌 및 진압 과정에서 다수의 민간인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그럼에도 피해자와 유족들은 ‘반란’과 ‘빨갱이’라는 오명을 쓴 채 70년 이상 손가락질을 받으며 살아야 했다.
때늦었지만 지난해 6월 제정된 여순사건 특별법이 올 1월 시행된 데 이어 지난 6일에는 희생자 45명과 유족 214명이 처음으로 정부의 인정을 받았다. 한데 지난 1월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위원회’ 출범과 함께 시작된 희생자·유족 신고에는 현재 3200여 명만 접수됐다. 1949년 피해자가 1만 1000여 명이라는 전남도의 조사 결과가 있었던 것에 비하면 매우 부진하다. 유족들이 고령인데다 아직도 연좌제 피해를 우려해 신고를 꺼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확한 피해자 수 파악이 진상 규명의 선결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제 석 달밖에 남지 않은 신고 기간을 1년 더 연장해야 한다. 희생자 신고가 저조한 지역에 대해선 직권 조사도 필요하다. 아울러 진상 규명 과정에서 희생자로 확인된 경우 별도 신고 없이도 위원회가 희생자로 결정할 수 있도록 특별법을 개정해 누락되는 피해자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