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토야마 전 총리의 사죄, 일본 정부 되새겨야
2022년 10월 11일(화) 00:00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전 일본 총리가 광주·전남 지역을 방문해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속죄의 뜻을 거듭 밝혀 주목된다.

하토야마 전 총리는 엊그제 나주 학생독립운동 기념관을 방문해 방명록에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학생들의 영혼이 영원히 평온하시길 바란다”고 적었다. 그는 기념관 관계자들을 만나 “식민지 시대에 일본인들이 한국 조선인들을 차별한 일에 대해 사죄하고 싶은 마음”이라며 “당시 상처를 입고 피해를 받으신 분들이 더는 사과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할 때까지 일본이 계속 사과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독일의 과거사 대응 태도와 같은 전쟁 가해자 ‘무한책임론’을 주장한 것이다.

대표적인 친한·지한파 인사로 통하는 그의 행보는 한·일 과거사를 부정해 온 일본 정부와 극우 세력의 입장과는 대조적이다. 그는 한국에서 발언 때문에 귀국을 반대하는 극우파의 공세를 받고 있음에도 소신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정계 은퇴 후인 지난 2015년 일제 강점기의 어두웠던 역사가 재현된 서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을 방문했고, 2018년에는 경남 합천에서 원폭 피해자를 만나 무릎 꿇고 사죄했다. 지난달 24일에는 진도 고군면 왜덕산에서 열린 위령제에 참석해 일본의 사죄를 촉구하면서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일본의 중단 없는 반성이 필요하다는 뜻을 다시 한번 강조하기도 했다.

하토야마 전 총리의 진성성과 전쟁 가해자 ‘무한책임론’은 한일 양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 국민이 원하는 것은 가해자의 진정성 있는 사과이고 양국 관계 개선의 전제 조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강제 징용과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한일 양국의 국익을 위해 관계 개선은 필요하지만, 과거사에 대한 전향적인 태도 없이는 한치도 앞으로 나갈 수 없다는 점을 일본 정부는 되새겨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