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창업기업 제품 우선 구매 확대를
2022년 10월 06일(목) 00:05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창업기업 제품 우선 구매 비율이 1%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창업기업의 판로 확보를 위해 2020년 4월 ‘창업기업 제품 공공기관 우선 구매 제도’를 도입해 지난해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우선 구매 제도는 공공기관으로 하여금 사회적 약자 기업이 생산한 제품을 일정 비율 이상 구매하게 함으로써 사업 초기 시장에 안착하도록 돕기 위해 도입됐다. 중증 장애인 생산품 우선 구매 제도가 대표적으로 공공기관 의무 구매 비율을 1%로 정하고 있다.

창업기업 제품 우선 구매 제도도 마찬가지 취지로 시행됐는데 공공기관들이 한해 구매하는 총액의 8% 이상을 창업기업 제품으로 채우도록 했다. 하지만 시행 첫해인 지난해 전국 공공기관 849곳의 창업기업 제품 구매율은 1.8%에 그쳤다. 문제는 빛가람혁신도시 공공기관의 구매율이 1.4%로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했다는 점이다. 한전을 비롯해 14개 기관은 지난해 물품·용역·공사 등으로 12조 6028억 원을 구매했는데 창업기업으로부터 구매한 금액은 1772억 원에 불과했다.

농촌경제연구원과 전력거래소 등 네 개 기관만 의무 구매 비율을 넘겼고 나머지 열 개 기관은 턱없이 모자랐다. 특히 국내 최대 공공기관인 한전은 구매액 8조 6783억 원 가운데 0.5%인 396억 원만 창업기업 제품으로 채웠다.

창업기업 제품이 외면받는 원인으로는 공공기관들의 인식 부족이 가장 크다. 여기에 기업 입장에선 창업기업 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하는 까다로운 절차도 부담이다. 정부도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창업기업 제품 구매 여부를 공공기관 경영 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고 한다. 그나마 다행이지만 중소벤처기업부가 나서 공공기관과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