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 발전’ 시금석 될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2022년 09월 29일(목) 00:05 가가
광주시와 전남도가 ‘반도체 특화단지’ 공동 조성을 위한 공식 추진 기구를 발족시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민선 8기 광주·전남 상생 1호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시동을 건 것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그제 광주테크노파크에서 ‘광주·전남 반도체산업 육성 공동추진위원회’ 출범식을 열었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 정성택 전남대 총장, 김종갑 전 하이닉스 사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아 20여 명으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는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을 위한 기업 유치 방안 및 정책 수립, 인재 양성 등을 지원한다.
시도는 인공지능(AI)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이 윤 대통령의 광주 지역 대선 공약이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균형 발전 공약이라는 점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 AI와 전력, 자동차 등 주력 산업과 연계한 반도체 특화단지를 접경 지역에 공동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반도체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들이 사활을 건 경쟁을 펼치고 있어 상황은 녹록지 않다. 대전과 대구·경북, 강원, 인천 등 서울을 빼고는 뛰어들지 않은 지역이 없을 정도다. 더욱이 특화단지 지정 시 ‘사업자와 지원시설 등이 입주해 있거나 입주하려는 지역’을 우선으로 하는 법안까지 발의돼 그렇지 않아도 반도체 산업이 몰려 있는 수도권 집중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행스러운 것은 윤 대통령이 어제 광주에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인공지능 대표 도시인 광주가 한국의 실리콘 밸리로 거듭나도록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거듭 약속했다는 점이다. 반도체 특화단지는 오는 11월까지 수요 조사를 거쳐 이르면 연내 지정된다. 이는 현 정부의 균형 발전 의지를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첨단 전략산업의 수도권 집중을 막고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반드시 광주·전남에 반도체 특화단지가 조성되어야 한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그제 광주테크노파크에서 ‘광주·전남 반도체산업 육성 공동추진위원회’ 출범식을 열었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 정성택 전남대 총장, 김종갑 전 하이닉스 사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아 20여 명으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는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을 위한 기업 유치 방안 및 정책 수립, 인재 양성 등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