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게임’ 내홍 조선대 미래는 안중에 없나
2022년 08월 29일(월) 00:05
조선대 이사회가 민영돈 총장에 대한 중징계 의결을 징계위원회에 전격 요구하면서 학내 갈등이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대학 운영에 책임이 있는 양 기관이 한국 최대의 민립대학이자 호남 최대 사학인 조선대의 미래에 대해서는 일말의 고민도 없이 서로 힘 겨루기만을 일삼는 상황에 대해 학내는 물론 지역 사회의 비난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로 인한 대학 이미지 실추는 다음 달부터 시작되는 2023 신입생 수시 모집에도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어 조기 해결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번 사태는 미래사회융합대학 ‘평생 교육체제 지원 사업’ 보고서 누락과 6학기 동안 강의를 하지 않은 공과대학 교수에 대한 징계 과정에서 시작됐다. 대학 교원인사위원회가 당사자들만 징계하고 관리 책임자였던 단과대학장은 징계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결정하자, 이사회가 사안의 중대성을 들어 총장 직권으로 징계안을 올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민 총장은 인사위원회의 권한 침해라며 이를 따르지 않았고, 이사회가 사립학교법 위반으로 그에 대한 징계를 결정한 것이다.

이번 사건의 이면에는 단순히 징계에 대한 이견을 넘어 자율권을 지키려는 대학 구성원과 법적 기구로서 조선대를 감독해야 할 법인 이사회의 해묵은 갈등 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 학과 통폐합 등이 수반되는 학사 구조 개편 등 대학 혁신안을 둘러싼 갈등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조선대는 1988년 이후 극심한 학내 분규로 임시 이사 체제 등을 오가다 2년 전에야 정상화됐다. 지방 대학들이 고사 직전의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상황에서 학교의 미래에는 아랑곳없이 자기 입장만 고집하는 것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양측은 진정으로 대학 발전을 위하는 길이 무엇인지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하루 속히 마련해 해법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