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내륙습지 2704곳 최신 생태공간정보 공개
2022년 08월 01일(월) 18:00 가가
환경부,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현황 조사
'에코뱅크' 통해 열람 및 내려받기 가능
분포 현황 면적, 개수 기준 1위 전라남도
습지 보전과 복원 연구 및 습지 훼손 사전 방지 기대
'에코뱅크' 통해 열람 및 내려받기 가능
분포 현황 면적, 개수 기준 1위 전라남도
습지 보전과 복원 연구 및 습지 훼손 사전 방지 기대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이 우리나라의 내륙 습지 2704곳의 상세정보를 담은 ‘내륙습지 목록’을 2일 공개한다.
내륙습지란 담수 또는 기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육지 또는 섬에 있는 호수, 못, 늪, 하천 또는 하구 등의 지역을 뜻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내륙습지 목록’ 정보는 국립생태원에서 운영 중인 생태정보 종합시스템 ‘에코뱅크(nie-ecobank.kr)’를 통해 자유롭게 열람 및 내려받기를 할 수 있다.
또한,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을 통해서도 습지의 기초자료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환경부는 습지보전법에 따라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내륙습지 2704곳의 현황을 조사했으며, 조사 결과를 습지보호지역 지정 등 습지 보전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하는 ‘내륙습지 목록’에는 그동안의 조사로 발굴한 습지의 좌표 및 주소, 유형 등의 현황정보가 담겨 있다. 1216곳의 경우 5677종의 생물 종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조사의 내륙습지 2704곳의 총 면적은 1153.4km로 우리나라 국토 면적의 약 1%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습지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64종의 약 40%(107종)가 사는것으로 나타났다.
분포 현황을 지자체별로 살펴보면, 면적 기준으로 면적 기준으로 전남도 228.3㎢, 충남도 198.3㎢ 순으로 나타났다. 개수 기준으로 보면 전남도 476곳, 경북도 373곳 순으로 가장 많은 습지를 보유하고 있다.
유형별 면적 순으로 살펴보면 하천습지가 990.7㎢(1326곳)로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했으며, 호수습지 99.0㎢(635곳), 인공습지 49.9㎢(277곳), 산지습지 13.8㎢(466곳) 순이다.
환경부는 이번 정보가 습지 보전과 복원을 위한 정책개발 및 연구 뿐만 아니라 개발사업 추진 시 환경영향평가 등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습지훼손을 사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다빈 에디터 bongouss@kwangju.co.kr
내륙습지란 담수 또는 기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육지 또는 섬에 있는 호수, 못, 늪, 하천 또는 하구 등의 지역을 뜻한다.
또한,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을 통해서도 습지의 기초자료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환경부는 습지보전법에 따라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내륙습지 2704곳의 현황을 조사했으며, 조사 결과를 습지보호지역 지정 등 습지 보전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조사의 내륙습지 2704곳의 총 면적은 1153.4km로 우리나라 국토 면적의 약 1%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습지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64종의 약 40%(107종)가 사는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면적 순으로 살펴보면 하천습지가 990.7㎢(1326곳)로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했으며, 호수습지 99.0㎢(635곳), 인공습지 49.9㎢(277곳), 산지습지 13.8㎢(466곳) 순이다.
환경부는 이번 정보가 습지 보전과 복원을 위한 정책개발 및 연구 뿐만 아니라 개발사업 추진 시 환경영향평가 등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습지훼손을 사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다빈 에디터 bongouss@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