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고 도망가고…외국인 계절근로자 관리 비상
2025년 07월 10일(목) 20:40
장성서 14명 숙소 이탈…전남 3년간 2212명 ‘전국의 29.6%’
출퇴근 관리·안정적 인력 공급 이점 농협 주도 ‘공공형’ 확대를

/클립아트코리아

장성지역 농가가 신청한 외국인 계절근로자 14명이 새벽에 무더기로 숙소를 이탈, 잠적하면서 고질적인 인력난을 겪는 지역 농가 주도의 계절근로자 투입 대신, 농협 주도의 ‘공공형 계절근로제’ 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0일 전남도와 장성군 등에 따르면, 태국 국적의 외국인 계절근로자 14명이 지난 2일 새벽 장성읍 숙소에서 집단으로 이탈했다. 이들은 지역 농가의 신청을 받은 장성군이 법무부에 요청한 데 따라 지난 5월 2일 계절근로자(E-8)비자로 입국한 20~30대 태국 국적 근로자들로, 해당 농가가 제공한 숙소에서 생활하며 표고버섯·두릅·사과 재배 등의 일을 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계절근로자들은 ‘농촌형’과 ‘공공형’으로 나뉘는데, ‘공공형’ 계절근로자의 경우 농협이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직접 고용한 뒤 영농작업반을 구성해 농가에 하루 단위로 노동력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대규모 영농을 하는 농가에서는 최장 8개월 동안 고용해 자유롭게 작업장에 투입할 수 있는 점 등으로 ‘공공형’보다 ‘농촌형’을 선호한다는 게 전남도 설명이다.

올해 전남도가 지역 농가에 지원하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9630명 중 농협 주도로 운영되는 ‘공공형’ 계절근로자는 392명에 불과하다. 나머지 9200여명은 개별 농가가 외국인 노동자와 직접 계약해 고용하는 형태로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

하지만 개별 농가가 숙소를 마련해야 하는데다, 일과 후 관리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농가의 부담 요인으로 꼽혀왔다.

당장, 지난해 국정감사 때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준병(전북 정읍·고창) 의원이 국내에 계절근로자·고용허가제로 입국한 뒤 중도 이탈한 외국인 노동자(2021년~2024년 7월)가 7465명에 이르는데, 이들 중 전남지역 이탈 노동자는 2212명(계절근로 474명·고용허가 1738명 )으로, 전국의 29.6%나 차지했다고 발표하기도 했었다.

이 때문에 법무부는 이탈률이 70% 이상인 우즈베키스탄·키르기즈스탄, 네팔, 인도네시아 등에 대해 인력 송출을 3년 간 제한하고 있다.

장성군은 이탈 사고와 관련, 법무부와 태국 대사관에 신고를 완료하고 유사 피해 방지를 위한 관내 농가 근로 상황 점검에 착수했다.

장성 계절노동자 집단 이탈 사고를 계기로 ‘공공형’ 계절근로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개별 농가가 숙소와 근로 관리 책임을 지는 ‘농촌형’ 대신, 농협이 출퇴근 관리를 전담하면서 이탈 위험을 낮추는 ‘공공형’ 을 늘려 안정적 인력 공급 체계를 확보하자는 것이다.

장성군은 올해 하반기부터 공공형 계절근로자를 도입하는 방향을 검토중이었다.

장성군 관계자는 “외국인 노동자들과 개별 근로계약을 맺은 다른 농가들도 많이 당황해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오는 8월부터 40명이 머무를 수 있는 공공형 숙소를 착공하는 것을 시작으로 10월 중 공공형 계절근로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