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유의 당 대표 중징계, 혼란 조기 수습을
2022년 07월 11일(월) 00:05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당 윤리위원회로부터 ‘당원권 6개월 정지’의 중징계를 받았다. 집권당 대표가 내부 징계로 직무에서 물러나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진 것이다. 국민의힘은 권성동 원내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했지만 이 대표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면서 대혼돈으로 빠져들고 있다.

국민의힘 윤리위원회는 지난 8일 심야 마라톤 회의 끝에 이 대표가 성 상납 의혹을 덮기 위해 증거 인멸을 교사했다고 보고 품위 유지 의무 위반을 이유로 이 같은 징계 결정을 내렸다. 제보자를 만나 7억 원의 투자유치 각서를 써 준 것으로 알려진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에게는 당원권 정지 2년의 징계를 의결했다.

이날 중징계로 인해 이 대표는 보수 혁신과 정치권 세대교체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지 1년 만에 정치 생명이 위태로워졌다. 이 대표는 36세이던 지난해 6월 전당대회에서 네 명의 당 중진 후보를 꺾고 당 대표 자리에 올랐다. 헌정 사상 30대가 보수 정당 사령탑이 된 것은 처음이었다. 잠재적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될 만큼 국민의 기대도 컸다. 당의 지지 기반을 2030 청년층으로 확대한 덕분에 대선과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기도 했다.

하지만 이 대표는 선거운동 과정에서 성별 갈라치기 등 논쟁적 화두로 진영 갈등을 부추기고 ‘윤핵관’들과 끝없이 내홍을 거듭하며 파열음을 냈다. 이로 인해 이 대표의 지도력과 정치력에 의구심을 제기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결국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불명예 퇴진 위기에 내몰리게 됐다.

이 대표가 받고 있는 의혹은 결코 가볍지 않다. 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원이 성희롱성 발언 의혹으로 최강욱 의원에게 당원권 정지 6개월이라는 중징계를 내린 것과 비교해도 그렇다. 경찰은 의혹의 실체를 명확하게 규명해 내기 위해 더욱 적극적인 수사에 나서야 한다. 이 대표도 자신을 둘러싼 성 비위 의혹에 대해 솔직하게 밝히고, 경제 위기 속에 집권 초 여당의 내분을 최소화하고 사태를 조기에 수습할 수 있도록 자성의 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