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피해 본격화…취약계층 보호책 시급하다
2022년 07월 08일(금) 00:05
광주·전남 지역에 연일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각종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폭염 특보가 1주일 이상 이어져 온열질환자가 속출하고 가축 폐사가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광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어제 광주·담양·나주·화순 등 네 곳에는 폭염 경보가, 나머지 지역에는 폭염 주의보가 내려지는 등 광주·전남 지역에 지난달 30일부터 8일째 폭염특보가 이어졌다. 이로 인해 온열 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5월 20일부터 7월 5일까지 광주·전남에서는 모두 46명의 온열 질환자가 발생했는데, 전남의 경우 폭염 특보가 내려진 지난 30일 이후 21명이나 급증했다.

가축 피해도 늘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 4일까지 도내 13개 농가에서 3326마리의 가축이 폭염으로 폐사한 것으로 집계했다. 또한 그제는 함평만·득량만·가막만·도암만·여자만 등 전남 앞바다에 고수온 주의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문제는 이 같은 폭염이 에너지 빈곤층과 노인, 저소득 가구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뜩이나 전기·가스 요금이 동시에 인상돼 생활고에 허덕이는 취약계층은 요금 걱정에 선풍기조차 맘대로 틀지 못하고 있다. 이들이 폭염에 무방비로 노출될 경우 자칫 불상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당국의 철저한 대책 마련과 세심한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코로나19로 인해 무더위 쉼터가 폐쇄된 곳이 많은 만큼 방역 수칙을 지키며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농촌 어르신들이 장기간 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을 정자나 그늘막 등 야외 폭염 저감 시설도 늘려야 한다. 아울러 개개인들도 한낮에는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수분과 염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등 건강 관리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