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현장’ 담긴 사진들 진상 규명 기폭제 되길
2022년 06월 24일(금) 00:05 가가
광주일보사는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취재해 보관하고 있던 사진과 필름 자료 3600장을 최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5·18조사위)에 전달했다. 42년 전 기자들이 목숨을 걸고 촬영한 현장의 생생한 장면들이 미완으로 남아 있는 5·18 진상 규명에 보탬이 됐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5·18조사위는 광주일보로부터 제공받은 주요 사진들과 이에 대해 2주가량 분석한 결과를 그제 언론에 공개했다. 가장 주목되는 사진은 1980년 5월 21일 금남로에 출동한 계엄군 장갑차와 군인들을 광주일보 옛 사옥이었던 전일빌딩에서 포착한 모습이다. 해당 사진에는 시민군과 대치하고 있는 M113 장갑차 두 대와 소총 등으로 무장한 100여 명의 군인들이 등장한다. 한데 사진 가운데 위치한 장갑차를 확대하면 12.7㎜ 기관총에 실탄들이 주렁주렁 장착된 모습이 보인다.
이에 대해 5·18조사위는 당일 계엄군의 전남도청 앞 집단발포가 ‘시민군의 위협에 따른 자위권 차원이었다’는 전두환 신군부의 주장을 깨뜨리는 결정적 증거라고 진단했다. 신군부는 “당일 오전에는 실탄이 지급되지 않았다”며 학살 책임을 피하려 했는데 그보다 두세 시간 앞서 장갑차에 탑재된 기관총에 이미 실탄이 장착된 모습이 잡혔기 때문이다. 5·18조사위는 사진에 찍힌 전신주의 그림자 각도와 길이, 천문기록 등을 비교해 촬영 시점을 오전 10시 44분으로 추정했다.
공개된 사진 중 태극기에 싸여 픽업트럭에 실려 있는 시신 한 구와 금남로 4가에 한 시민이 혼자 덩그러니 쓰러져 있는 모습도 중요한 단서로 평가됐다. 집단 발포 당일 계엄군이 퇴각하면서 저격수들이 시민을 정조준해 사격했다는 제보자들의 증언을 뒷받침한다는 것이다. 이외에 착검한 채 시민을 뒤쫓는 계엄군, 전일빌딩을 맴도는 헬기, 상무관에 안치된 희생자들 모습도 당시 참혹한 상황을 증언하고 있다.
5·18 당시 사진기자들은 총격의 위협을 무릅쓰고 고층 건물에서 난간 밖으로 카메라만 내밀거나 계엄군을 피해 거리 곳곳을 다니며 목격한 참상을 렌즈에 담았다. 이처럼 소중한 자료들인 만큼 발포 명령과 행방불명자 등 5·18의 남은 진실을 규명하는 데 기폭제가 되기를 바란다.
5·18 당시 사진기자들은 총격의 위협을 무릅쓰고 고층 건물에서 난간 밖으로 카메라만 내밀거나 계엄군을 피해 거리 곳곳을 다니며 목격한 참상을 렌즈에 담았다. 이처럼 소중한 자료들인 만큼 발포 명령과 행방불명자 등 5·18의 남은 진실을 규명하는 데 기폭제가 되기를 바란다.